포스코퓨처엠이 미래 배터리 기술로 각광받는 리튬망간리치(LMR) 배터리의 양극재 개발을 완료했다고 27일 밝혔다.
LMR 배터리는 중국이 독점하고 있는 리튬인산철(
LFP)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가 33%가량 높으면서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것이 특징이다.
에너지 밀도가 높은 만큼 같은 용량으로 더 긴 주행거리를 가지고 있고, 니켈·코발트와 같은 고가 금속 사용을 줄이고 망간 비중을 높여 가격을 낮췄다.
또
LFP 배터리가 재활용이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리튬 회수율이 높은 LMR 배터리는 경제성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는 친환경 배터리로 주목받는다.
포스코퓨처엠 기술연구소는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과 공동으로 2023년부터 글로벌 자동차·배터리 기업과 함께 LMR 상용화 기술을 개발해왔다.
그 결과 지난해 파일럿 생산에 성공했다.
이어 올해 안으로 양산체제를 갖추고 대형 수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실제 전기차 업계에서도 LMR 배터리 상용화의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GM은 지난 13일 LMR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를 2028년부터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포드 역시 2030년 전 상용화를 목표로 2세대 LMR 배터리 개발에 착수했다.
특히
포스코퓨처엠은 기존 니켈·코발트·망간(NCM) 양극재 생산라인을 활용해 대규모 신규 투자 없이 양산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는 평가다.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신규 생산라인 증설 없이 기존 공장을 활용해 양산이 가능하다.
고객사 요청에 따라 맞춤형 생산·공급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고객사 요청으로 LMR 생산에 필요한 설비 운영, 안전·환경 분야 실사를 진행해 승인을 획득하기도 했다.
대규모 수주계약을 체결하면 곧바로 양산체제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LMR 양극재 개발에 이어 향후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과 함께 에너지 용량을 더 높인 차세대 LMR 양극재를 개발해 LMR 제품 포트폴리오를 프리미엄·대형 전기차 시장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추동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