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오른 2025 서울 모빌리티쇼
현대차그룹, 각종 신차 세계 최초 공개
2세대 수소차 ‘넥쏘’·전기차 ‘아이오닉 6’
기아, PV5 소개하며
LG전자 MOU 소개
제네시스, 컨버터블 포함 콘셉트카 2종
국내 중견 3사는 불참…中 BYD 최초 참여
 |
3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된 ‘2025 서울 모빌리티쇼’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최홍석 현대차 현대외장디자인1팀 책임연구원(왼쪽부터), 정유석 현대차 국내사업본부장 부사장,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이먼 로스비 현대차 현대디자인센터장 전무가 디 올 뉴 넥쏘, 더 뉴 아이오닉 6와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자료출처=현대차그룹] |
현대차그룹이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수소차 넥쏘의 차세대 모델과 전기차 아이오닉 6의 신 모델을 공개하며 친환경차 분야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지와 자신감을 보였다.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시전시장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에서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은 수소차 넥쏘의 후속 모델 ‘디 올 뉴 넥쏘’를 전 세계 최초로 공개하며 “넥쏘는 단순한 친환경차를 넘어 수소에너지의 가능성과 수소 사회에 대한
현대차그룹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
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제1시전시장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미디어 데이에서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자료출처=현대차그룹] |
디 올 뉴 넥쏘는 2018년 3월 출시 이후 7년만에 선보이는 완전변경 모델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콘셉트가 ‘이니시움’을 공개하며 디 올 넥쏘의 등장을 예고한 바 있다.
이 차는 SUV의 강인한 이미지와 수소전기차만의 독특한 디자인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친환경차인 만큼 재활용 플라스틱, 바이오 페인트 등 친환경 요소가 내·외장재에 다수 적용됐다.
현대차는 이날 전기 세단 아이오닉 6의 부분변경 모델 ‘더 뉴 아이오닉 6’와 고성능 버전 ‘더 뉴 아이오닉 6 N Line’의 디자인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더 뉴 아이오닉 6는 기존 디자인에 비해 차체 흐름을 더 유연하게 연결하는 특징을 보였다.
무뇨스 사장은 “치열화된 경쟁 속에서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혁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
현대차그룹은 향후 10년간 120조원을 투자하고, 오늘 공개하는 2개의 신차를 시작으로 전기차 21종을 새롭게 개발하고
하이브리드 모델도 현 7종에서 14종으로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현대차는 게임에 영감을 받아 제작한 캐스퍼 일렉트릭의 콘셉트 모델 ‘인스터로이드’도 소개했다.
정유석
현대차 부사장은 인스터로이드를 소개하며 “비디오게임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이 프로젝트를 많은 사람들이 만나보며 즐거움을 누리길 바란다”고 말했다.
기아는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목적기반차량(PBV) 첫 번째 모델인 PV5와 브랜드 첫 번째 전기 세단 EV4를 국내에 최초로 공개하고 픽업트럭 ‘타스만 위켄더’ 콘셉트 모델을 글로벌 최초 공개했다.
 |
‘2025 서울모빌리티쇼’ 행사장에 전시된 기아 PV5 슈필라움 스튜디오 콘셉트카 [자료출처=기아] |
 |
2025 서울 모빌리티쇼에서 전 세계 최초 공개된 제네시스 ‘엑스 그란 컨버터블’ 콘셉트 [자료출처=제네시스] |
현대차의 럭셔리 브랜드 제네시스는 콘셉트 모델인 ‘엑스 그란 쿠페’와 ‘엑스 그란 컨버터블’ 2종을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이 두 모델은 2015년 출범한 제네시스가 지난 10년간 쌓아온 디자인 자산을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하는 새 럭셔리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제네시스는 소개했다.
엑스 그란 쿠페와 컨버터블의 외·내관은 올리브 열매와 레드 와인, 유칼립투스 나무 등 지중해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색상이 적용됐다.
올해는
HD현대도 처음으로 서울모빌리티쇼에 참여했다.
HD현대의 건설기계부문 계열사는 40t급 굴착기 등 차세대 모델을 대거 선보였다.
HD현대 전시관에는 40t급 ‘HX400’과 24t급 ‘DX240’의 실물이 관람객들을 맞았다.
HD현대 건설기계부문이 글로벌 톱 티어 브랜드들과 경쟁하기 위해 개발한 제품들로 전자제어유압시스템 등이 적용됐다.
조영철 사장은 “기술력과 노하우를 한 데 모아 완성했다”면서 “국가대표급 브랜드를 글로벌 톱 메이커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
2025 서울모빌리티쇼 BYD 부스에 소개된 전기 슈퍼 스포츠카 U9(왼쪽)와 대형 전기 SUV U8 [한창호 기자] |
한편 올해 개최된 서울모빌리티쇼에는 국내 완성차 5개사 중
현대차와
기아를 제외한 나머지 중견 3사는 참여하지 않았다.
반면 중국 전기차 브랜드 BYD가 브랜드 최초로 행사에 참여하며 빈자리를 채웠다.
BYD는 미디어데이에서 전기 세단 ‘BYD 씰’을 공개하며 사전예약을 실시했다.
또 산하 프리미엄 브랜드 ‘양왕’의 대형 SUV U8과 전기 슈퍼 스포츠카 U9, 고급 브랜드 ‘덴자’의
하이브리드 MPV D9과 스포츠 세단 Z9GT 등을 소개했다.
이외에도 메르세데스-벤츠, 포르쉐, BMW 등 해외 완성차 브랜드도 부스를 마련해 국내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차종과 기술력을 선보였다.
2025 서울모빌리티쇼의 일반 관람은 4일부터 오는 13일까지 가능하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