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람상조, 바다 위 크루즈서 다양한 경험…‘공간 엔터테인먼트’ 강화

이스턴 비너스 크루즈 전경. [사진 출처 = 보람그룹]
최근 휴식을 위한 여행과 함께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 투어 프로그램 등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보람상조가 크루즈 선내에 공연장 및 체험장 등의 다양한 경험 공간을 계획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26일 보람상조에 따르면 최근 여행 추세(트렌드)의 변화에 발맞춰 크루즈 안의 ‘공간 엔터테인먼트’를 구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크루즈가 단순한 이동 수단의 역할을 하는 게 아닌 움직이는 공연장과 체험장을 만들겠다는 취지다.


보람상조의 공간 엔터테인먼트는 크루즈라는 이동형 복합문화공간에서 무대·조명·퍼포먼스를 모두 갖춘 아크로바틱, 라틴댄스, 뮤지컬 등 다양한 콘텐츠로 마련된다.

정해진 프로그램 기획을 따라가지 않고 상황에 맞는 기획형 공연 시스템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또 크루즈 선상에서 이뤄지는 웨딩 프로그램도 기획해 특별한 선상 결혼도 준비하고 있다.


이스턴 비너스 크루즈에서 펼쳐지는 다채로운 공연 모습. 보람상조는 다양한 공연을 고객 수요에 맞춰 구성할 계획이다.

[사진 출처 = 보람그룹]

선박은 ‘이스턴 비너스 크루즈’로 약 3만 톤 규모의 12층짜리 선박이다.

국내에서 정기적으로 출항하는 유일한 정통 크루즈다.

선박은 최대 720명을 태울 수 있으며 전 객실은 로얄 스위트부터 스탠다드까지 다섯 가지 등급으로 나뉜다.


보람상조는 크루즈를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으로 재해석하고 있다.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공연부터 여가와 휴식까지 선내 모든 경험을 고객 중심의 콘텐츠로 기획한 것이다.

기간은 2박 3일부터 다양하게 구성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최근 보람상조는 두원크루즈페리와 업무협약(MOU)을 했다.

양사는 크루즈 여행을 선택하는 상조회원들을 위해 다양한 볼거리를 경험할 수 있게 다양한 프로그램을 늘려가기로 했다.


보람상조 관계자는 “크루즈를 단순히 상품으로 내놓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여정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하나의 콘텐츠 플랫폼으로 제안하고 있다”며 “크루즈 안에 휴식, 교류, 즐거움이라는 가치를 담아 고객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방향으로 서비스 전략을 세웠다”고 말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여파로 2020년 32억 달러, 2021년 43억 달러로 축소됐던 관광수지 적자는 2022년 57억 달러에서 지난해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관광수지는 국내로 들어오는 관광수입과 해외로 나가는 관광 지출의 차이를 뜻한다.

적자가 클수록 해외여행이 활발해졌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