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 한 번 잘못했다가 인생 꼬이겠네”…美 로펌들, 트럼프 반대파 연락 꺼린다는데

반트럼프계 로펌 정부계약 취소 행정명령
트럼프 “정직하지 않은 로펌들 바로잡아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플로리다 마러라고 사저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자동차 등에 25% 관세를 4월 2일에 부과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격적인 성향으로 인해 로펌들이 트럼프 반대 진영에서 소송을 맡기를 극도로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칫 트럼프로부터 보복을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트럼프 두려움으로 엘리트 로펌들 후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미국 대형 로펌들이 트럼프 행정부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원고 측 의뢰를 수임하지 않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시민단체들이 출생 시민권 제한과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 폐지 등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과 관련해 100여 건의 소송을 낸 상태인데 이를 맡을 로펌을 찾기 어려워진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방송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너무나 부정직한 로펌들이 많아 바로잡아야 한다”고 엄포를 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엄포는 공수표가 아니었다.

그는 지난 6일 민주당과 밀접한 미국 최고 로펌 퍼킨스 코이에 대한 정부 계약과 연방 건물 접근 권한을 박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퍼킨스 코이가 트럼프 대통령의 표적이 된 것은 2016년 대선 때의 악연 때문이라고 관측된다.

당시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힐러리 클린턴 선거캠프가 ‘트럼프가 러시아와 내통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는 과정에서 선거캠프 자문 로펌이었던 퍼킨스 코이도 역할을 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자신에 대한 조사를 총괄하던 특별 검사 잭 스미스가 몸담고 있는 로펌 코빙턴&버링에 대해서도 정부 계약과 연방 건물 접근 권한을 막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정부효율부(DOGE) 수장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국립보건원(NIH) 기금 삭감 조치에 대한 소송을 소셜미디어 X에서 ‘반민주적 소송’이라고 규정한 뒤 어떤 로펌이 원고의 의뢰를 수임하는지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대형 로펌들은 설사 정부를 상대로 한 소송을 수임했더라도 될 수 있는 한 공개적인 의견표명을 자제하는 분위기다.


과거에는 단순히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여론조성 작업과 로비 활동 등을 통해 의뢰인의 이익을 극대화했지만, 이제는 최대한 몸을 낮추고 있다는 이야기다.


연방하원 법사위원회 민주당 간사인 제이미 래스킨 의원은 “다른 사람의 권리를 옹호한다는 이유로 대통령의 보복을 받는다는 것은 정말 위험한 사태”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