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 속에서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서민·소상공인이 늘며 지난해 금융공공기관이 은행에 이들 대신 갚아준 금액이 17조원을 넘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3일 오기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증사업을 하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
SGI서울보증보험 등 13개 금융공공기관·금융공기업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 보증기관의 지난해 대위변제액은 16조3142억원으로 역대 최대치로 나타났다.
13개 기관 중
SGI서울보증보험은 작년 상반기(1조1133억원)만 반영된 수치라 하반기까지 고려하면 17조원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전년 대위변제액(13조7742억원) 대비 18.4% 증가한 것이다.
대위변제는 차주가 원금을 상환하지 못할 때 정책기관이 은행에 대신 빚을 갚아주는 것이다.
13개 기관의 대위변제액은 2019~2022년 5조원대였다가 2023년에 급증했다.
해당 기관들 중 대위변제액이 가장 많은 곳은 HUG로 6조940억원에 달했다.
HUG의 대위변제액은 2022년 1조원대에서 2년 새 급증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영향으로 전세금 반환보증 사고가 늘어난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오 의원은 "2023년부터 대위변제 급증을 경고했지만 정부는 최근에야 대책을 조금씩 발표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채종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