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부산서 협의체 첫 회의
버드 스트라이크 예방안 논의
 |
부산 가덕도신공항 조감도. 매경DB |
정부가 무안국제공항 사고와 같은 재난을 막기 위해 가덕도신공항에 주변 시설물을 지하화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28일 국토교통부는 해양수산부, 부산시, 울산시, 경남도,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등과 함께 부산에서 가덕도신공항 거버넌스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 거버넌스는 지난해 12월 6개 관계기관이 체결한 업무 협약 후속 조치로 가덕도신공항과 부산항 진해신항 기반 시설 건설과 함께 부·울·경 활성화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만들어진 협의체다.
거버넌스는 첫 회의를 시작으로 가덕도신공항 건설사업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운영되며 정부·지방자치단체·연구기관·민간 등 총 40여개 기관이 5개 분과로 나뉘어 활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또 정책 실
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 지방자치단체, 사업시행자가 각 분과 주관을 맡고 연구기관이 지원하는 체계로 운영된다.
공항 용지 조성 공사와 여객 터미널 등에 대한 건축 실시 설계는 각각 올해 6월과 8월에 착수할 계획이다.
특히 안전과 관련해 활주로 주변 시설물을 지하에 설치하거나 부러지기 쉬운 구조를 적용하는 등 조류 충돌 사고(버드 스트라이크)를 예방하는 대책이 검토된다.
거버넌스는 오는 4월 발표 예정인 항공 안전 혁신 대책의 내용도 적극 반영하기로 했다.
거버넌스는 분과별로 이용자 관점의 공항설계, 교통 시설 간 연계, 항공사 유치와 거점 항공사 육성, 복합물류 연계 체계, 개발 계획 간 연계 등 우선 논의할 과제를 선정한다.
거버넌스는 이번 첫 회의를 시작으로 매달 1∼2회 분과회의와 격월 전체회의를 개최해 과제를 구체화할 방침이다.
용지 조성 공사와 건축 공사 실시설계가 진행되는 3분기에는 그간 논의 성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국토부 측은 “최근 연이어 항공기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안전한 공항을 만드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해상 공항이라는 입지적 특성까지 고려해 폭넓은 안전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