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공기업, 1.1조원 규모
건설·스마트시티 2단계 펀드

국내 한 건설사의 해외 건설공사 현장. 매경DB
정부와 공공기관이 민간과 협력해 총 1조1000억원 규모의 ‘글로벌 플랜트·건설·스마트시티(PIS) 2단계 펀드’를 만든다.

이를 통해 한국 기업의 해외 투자개발사업 진출을 지원하고 기반 시설·도시 개발·물류 등 고부가가치 사업의 해외 수주 확대를 도울 계획이다.


25일 국토교통부는 이날 오전 서울에서 1조1000억원 규모의 PIS 2단계 펀드의 첫 단계인 공공기관 투자계약 체결식을 개최했다.

이 행사에는 해외 투자개발, 기반 시설, 수출 금융 분야 10개 공공기관이 투자자로 참여했다.


PIS 펀드는 해외 건설시장에서 단순도급 방식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 해외 투자개발 사업으로 우리 기업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19년부터 정부와 공공기관, 민간이 함께 조성해 온 금융지원 프로그램이다.


2019년 1단계 펀드를 시작해 지금까지 총 1조4000억원을 조성했고 올해 6월까지 1조5000억원 규모의 펀드 투자를 완료할 계획이다.


그간 미국·영국·말레이시아·사우디 등 12개국의 친환경 에너지와 도로, 유화 플랜트, 산업단지, 물류센터 같은 20개 사업에 투자해 약 15억달러 상당의 수주·수출 지원 효과를 거뒀다.


PIS 2단계 펀드는 전체 규모의 10%에 해당하는 1조1000억원의 정부 재정과 30%에 해당하는 3300억원의 공공기관 투자를 통해 모태펀드(모펀드)를 조성하고 나머지 60%에 해당하는 6600억원의 민간 투자를 유치해 총 1조1000억원의 하위펀드(자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투자 대상은 하위·중위 개발도상국과 선진국에서 추진하는 플랜트, 교통 및 물류 시설, 도시 개발 등 분야의 해외 투자개발사업이다.

전체 투자의 60% 이상을 한국 기업이 해외 수주·수출·사업 개발·지분 투자 목적으로 참여하는 사업에 투자할 예정이다.


또 2단계 펀드 투자에 참여한 공공기관들이 주도하는 해외 사업에도 적극 투자해 국내 기반 시설 건설·운영에 많은 경험과 전문성을 가진 한국 공기업들이 민간 기업과 함께 해외 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부 측은 “해외 건설 1조달러 수주 달성에 이어 2조달러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동력은 투자개발 사업이며 이러한 사업으로 체질을 개선하려면 금융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PIS 2단계 모태펀드에 투자한 공공기관들이 선도적 노력을 해줘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