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1 합병한 나스닥 상장사
1대1로 잘못 계산해 주식 지급
물량 과도하게 풀려 주가 급락
 |
메리츠증권 본점. [사진 출처 = 메리츠증권] |
메리츠증권이 글로벌 회사 간 합병 비율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고 주식 거래를 진행해 투자자 혼란을 야기한 사실이 알려졌다.
2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전날 나스닥시장에서는 하이드마(티커 HMR)가 거래되기 시작했다.
하이드마는 기존 나스닥 상장사인 MGO글로벌(MGOL)과 합병을 통해 상장됐다.
합병 비율은 30대1로, MGO글로벌 주식을 30주 가지고 있는 기존 주주는 새로 상장하는 하이드마 주식 1주를 지급받게 됐다.
하지만 메리츠증권은 합병 비율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 일부 MGO글로벌 주주에게 주식 1주당 하이드마 주식 1주를 지급했다.
하이드마 주식을 1주만 받아야 하는 주주도 30주를 받게 된 것이다.
그러자 주식이 과도하게 시장에 풀리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이 같은 일은 전날 나스닥 프리마켓(개장 전 거래)에서 한국시간으로 오후 6시부터 7시 25분까지 벌어졌다.
1시간25분 동안 매도 주수는 15만주로 확인됐다.
메리츠증권은 정규 장에서 13만주를 다시 사들였다.
메리츠증권 측은 “해당 시간 주가가 변동하는 과정에서 손해를 본 계좌는 30여 개, 고객 손실 금액은 현재 1000만원으로 추산된다”며 “정확한 손해 규모를 파악해 고객에게 보상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통상 증권사들은 합병 등으로 티커(특정 주식을 식별하는 고유 문자코드) 변경이 발생하면 신규 종목이 입고되기 전 1~4영업일 동안 기존 주주의 거래를 제한한다.
이번에도 다수 국내 증권사는 전날 기존 MGO글로벌 주주들의 거래를 제한했다.
메리츠증권·토스증권 등 일부 증권사에서만 하이드마 주식 거래가 가능했다.
토스증권은 합병 비율을 제대로 반영한 것으로 확인된다.
전날 토스증권 이용자 중에는 장중 주가가 폭락한 하이드마 주식을 사들여 10배 이상 수익을 낸 투자자도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