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레이팅스(이하 S&P)는 18일 미국의 철광 관세 부과로 국내 철강 업체들이 역내 경쟁사들보다 더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S&P는 보고서에서 "국내 철강 업체들은 그동안 일정 할당량(쿼터) 내에서 관세 면제 혜택을 받아왔으나, 해당 조치가 종료되면 관세 면제 혜택을 받지 못했던 역내 경쟁사들과 비교해 경쟁력이 약화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특히 "한국 철강업체들은 역내 경쟁업체들과 비교해 미국 시장에 대한 익스포저(노출)가 더 크다"면서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한국산 철강 제품은 미국 철강 수입량의 약 10%를 차지하며, 이는 중국(2%) 및 일본(4%)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S&P는 "이번 관세가 시행될 경우 포스코와 현대제철[004020]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들 기업의 미국 수출 물량 비중은 한 자릿수 초반에 불과하지만, 해당 수출 물량은 타지역 수출 물량 대비 상대적으로 판매 가격과 수익성이 높기 때문"이라고 짚었습니다.

아울러 "이같이 수익성 높은 수출 물량 감소는 포스코홀딩스[005490]에 큰 부담이 될 전망"이라며 "동사는 이차전지 소재 사업 확대로 인해 자본지출이 급증하면서 차입금이 상당히 증가한 상태"라고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S&P는 "이번 관세 부과는 국내 철강업체들의 신용등급 유지 여력에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또 S&P는 "철강 관세가 계획대로 시행될 경우 매출 감소 폭은 한 자릿수 초중반대, 영업이익 감소 폭은 한 자릿수 중후반대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S&P는 "이미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는 한국 철강업체들에 관세 부과는 추가적인 부담 요인"이라며 "중국발 공급과잉이 지속되는 가운데, 수요 부진이 겹치면서 업황이 위축되는 등 험난한 영업 환경이 이어지고 있고, 철강 가격 하락으로 스프레드가 축소되어 수익성도 감소하는 추세"라고 진단했습니다.

다만 S&P는 "미국 관세의 실제 영향은 최종 시행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현 미국 행정부에서는 정책이 빠르게 변경될 가능성이 있어 시행 이전에 구체적인 관세율이나 국내 철강사 대상 수입 할당량 정책이 조정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 이명진 기자 / pridehot@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