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9일) 새벽 전남 여수 해상에서 14명이 승선한 139t급 대형 트롤 선박 제22서경호가 침몰하면서 열흘도 채 지나지 않아 대형 어선 사고가 또다시 발생했습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어선 전복·침몰·충돌·안전사고 등으로 인한 사망·실종자는 2023년 78명에서 지난해 119명으로 41명(52%) 증가했습니다.
이는 2014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로, 사망·실종자가 세 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2017년 이후 7년 만입니다.
어선 사고는 매년 2천건 정도 발생하며, 어선 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는 2020년 99명에서 3년 연속 감소했다가 지난해 급증했습니다.
지난해 11월 8일 제주 해상에서 승선원 27명 중 5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된 135금성호 침몰 사고를 비롯해 대형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3월에는 어선 사고 5건이 발생하면서 18명의 인명 피해(사망 11명·실종 7명)가 나왔습니다.
이에 해수부는 지난해 5월 출항 금지 기준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어선 안전관리 대책'을 발표했으나, 이후에도 인명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어선 사고를 포함한 지난해 전체 해양 사고 사망·실종자 수는 165명으로,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014년 이후 가장 많았습니다.
해양 사고 사망·실종자는 2020년 126명에서 2023년 94명으로 감소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71명(76%) 급증했습니다.
지난해 사망·실종자가 3명 이상 발생한 대형 해양 사고는 10건으로, 이로 인한 인명 피해는 62명에 달하며 전년 대비 5배 수준입니다.
해양 사고는 올해도 이어지면서 한 달여 만에 두 자릿수 인명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지난 1일 제주 인근 해상에서는 근해채낚기 어선이 갯바위에 좌초해 3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습니다.
이날 새벽에는 전남 여수 해상에서 제22서경호가 침몰해 오후 1시 30분 기준 8명이 구조됐으나 4명이 숨지고 6명이 실종 상태입니다.
해수부는 이날 강도형 장관 주재로 관계기관 상황 점검 회의를 열어 수색·구조 상황을 공유했으며, 위기경보 '심각'을 발령하고 장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구성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어선 사고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해 어업인의 안전 의식 강화와 교육, 불법 출항 어선 관리 강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어업인 대상 안전 교육 내실화, 선박 복원성 검사 대상 확대, 어선 시설 안전 관리 강화, 기상 정보 정확도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정부 역시 올해 어선 사고 대책을 마련 중입니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5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어선 입·출항 관리 강화 등의 내용을 담은 '어선 사고 인명 피해 방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입·출항 미신고나 승선 인원 허위 신고 등 어선 위치 관리에 혼선을 주는 불법 행위를 적발할 경우, 기존 최대 15일이었던 어업 정지 기간을 30일까지 2배로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어선원 구명조끼 착용 대상을 모든 승선원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하며, 착용이 편리하고 가격 부담이 적은 구명조끼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해수부는 지난달 20일 강도형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해양 사고 인명 피해 저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으나, 아직까지 장관 주재 회의를 열지 않았습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