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중국의 인공지능, AI '딥시크'가 이용자의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이 커지고 있는데요.
국내에서도 주요 정부 부처들이 자체 판단에 따라 딥시크 접속을 제한하고 나섰습니다.
뿐만 아니라 민간 기업들도 딥시크 차단 대열에 합류하고 있는데요.
보도에 조문경 기자입니다.


【 기자 】
국내 정부 부처들이 중국 AI '딥시크'의 보안 우려에 대한 대응 조치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국방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가 외부 접속이 가능한 PC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한 것.

환경부와, 보건복지부, 통일부, 경찰청도 잇따라 딥시크 접속 차단에 나섰으며, 경제 사령탑인 기획재정부 역시 접속 차단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AI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민감한 기밀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입니다.

▶ 인터뷰(☎) : 황석진 / 동국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중국 같은 경우 기업이 실질적으로 해외 어느 곳에서 영업을 하든지 중국 현지에 적을 두고 있으면, 개인정보 접근 권한은 중국 당국에서 언제든지 들어가서 볼 수 있습니다. 중국발 기업이 모두 그렇지는 않지만, 대부분 개인정보를 중국 정부에서 볼 수 있는 권한이 있기 때문에…."

앞서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습니다.

공문은 딥시크만을 특정하진 않았지만, 딥시크의 과도한 정보수집 논란을 의식한 조치로 풀이됩니다.

실제로 호주와 일본, 대만 등 주요국들은 딥시크 사용 규제에 나섰습니다.

국내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역시 중국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과 처리, 보관 방법 등의 확인을 요청하는 질의서를 발송했는데, 아직 회신을 받지 못한 상황입니다.

우리 기업들도 딥시크 사용 금지 공문을 잇따라 내고 있습니다.

최근 오픈AI와 AI 동맹을 굳건히한 카카오는 사내 업무 목적으로 딥시크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가 하면,

LG유플러스 역시 사내망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고, 직원 개인 PC를 통한 사용도 자제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삼성전자와 SK, LG전자 등 주요 기업들은 내부적으로 생성형 AI를 자체 개발해 활용 중이며, 사내 PC에서 허가되지 않은 외부 프로그램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정부와 기업 모두 AI 활용에 신중한 태도를 보이는 가운데, 향후 딥시크에 대한 추가 조치가 나올지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조문경입니다.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