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전 안 만날 것’ 입장서 선회
日, 아베 부인 면담·손정의 1천억불 투자 등
트럼프와 관계 구축 노력 결실 수순
세계 각국 ‘트럼프 줄 대기’ 열 올리는데
한국, 정치혼란 ‘허우적’...외교력 약화 우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16일(현지시간)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웃고 있다. [AP=연합뉴스] |
일본이 내달 취임 예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의 관계 구축 노력에서 잇따라 성과를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상계엄 사태이후 극도의 혼란에 빠진 한국은 정치 에너지가 내치에 집중되며 트럼프 행정부에 대응하기 위한 외교력이 약화될 처지에 놓였다.
일본 뿐 아니라 세계 각국이 트럼프 당선인을 향한 ‘줄 대기’에 나선 가운데, 그의 공약에 직격탄을 맞을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은 정상 차원의 네트워크 가동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16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은 플로리다 마러라고에서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취임 전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의 회동 가능성에 대해 “꼭 만나고 싶다”라며 “그들(일본)이 원한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미국)는 일본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고도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아베 신조 전 총리 부인 아키에 여사를 통해 이시바 총리에게 서적과 기념품 등 선물을 보냈다고 밝혔다.
트럼프 당선인은 전날 부인 멜라니아 트럼프 여사와 함께 아키에 여사를 만났다.
멜라니아 여사는 엑스(X·옛 트위터) 계정에 트럼프 당선인, 아키에 여사와 함께 찍은 사진을 올리고 “아베 아키에 여사를 마러라고에서 다시 맞이해 영광이었다.
우리는 그녀의 작고한 남편인 아베 전 총리를 추모하고 그의 훌륭한 유산을 기렸다”고 적었다.
아베 전 총리는 2016년 대선때 취임 전 트럼프 당선인을 찾아가 외국 정상 중 처음으로 만났고, 이후 관계에 심혈을 기울여 개인적 신뢰관계를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이시바 총리도 미 대선 이후 트럼프 당선인과의 회동을 모색해왔지만, 트럼프 당선인 측에서 응해주지 않으면서 아직 회동은 성사되지 못한 상태다.
애초 트럼프 당선인 측은 원칙적으로 취임 이전에는 외국 정상과 만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으나, 아키에 여사와의 면담, 소프크뱅크의 투자 등 일본 측의 ‘전방위 접근’ 노력으로 입장을 선회하는 분위기인 셈이다.
이날 기자회견은 손회장의 1천억 달러(143조6천억원) 규모 대미 투자계획 발표를 위해 기획됐다.
하지만 트럼프 당선인이 기자들과 각종 이슈 관련 질의응답을 주고받으면서 사실상 대선 승리 후 첫 기자회견 모양새가 됐다.
손 회장은 트럼프 당선인과 기자회견한 뒤 NHK에 “어제는 당선인과 아침 식사를 함께하는 등 아침부터 저녁까지 7시간 정도 친근한 시간을 보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투자계획에 대해 “당선인에게는 앞으로 여러 회사로부터 많은 제안이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처음에 재빠르게 행동하는 것으로 여러 비즈니스와 파트너십을 넓힐 수 있어 의사결정은 빠른 편이 좋다”고 말했다.
사실 일본은 트럼프 당선인의 승리가 결정되기 훨씬 이전부터 관계 구축에 공을 들여왔다.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 때인 지난 4월 당시 집권 자민당 부총재를 맡고 있던 아소 다로 전 총리가 뉴욕 트럼프타워를 찾아가 당시 공화당 대선 후보 였던 트럼프 당선인과 만났다.
아소 전 총리는 아베 전 총리 재임 때 부총리를 역임하면서 정상회담에 배석했고, 두 정상의 골프 회동에도 동참했기에 트럼프 전 대통령과도 안면이 있다.
이 회동은 일본 정부 입장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 승리에 대비한 ‘보험 들기’라는 해석이 나왔다.
트럼프 외교행보 벌써 시작, 주요국 정상 면담이어 속속 취임식 초청...한국은?
|
지난 14일 서울 국회의사당 앞에서 열린 탄핵 촉구 집회(왼쪽)과 같은 날 서울 광화문역 일대에서 열린 탄핵 반대 집회 모습. [뉴스1] |
실제 트럼프 당선인의 외교 행보는 이미 시작된 상태다.
이스라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14일 트럼프 당선인과 시리아 사태, 이란과 헤즈볼라 대응, 가자지구 인질 석방 협상 등을 두루 논의했다고 밝혔다.
내달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을 기점으로 정상회담도 줄을 이을 것으로 관측된다.
CNN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 측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외에도 멜로니 총리, 나이브 부켈레 엘살바도르 대통령, 밀레이 대통령을 취임식에 초청했다.
16일 트럼프 당선인은 주일 미대사에 조지 글래스 전 포르투갈 대사를 지명하기도 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글래스를 다음 주일 미국 대사로 발표하게 돼 기쁘다” 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당선인은 데이비드 퍼듀 전 연방 상원의원을 주중국 대사로 지명한데 이어, 이날 주일본 대사에 조지 글라스 전 주포르투갈 대사를 지명한 시점에서 한국에 대한 언급은 아직까지 전무하다.
트럼프 당선인은 집권 1기 취임을 앞두고서도 일본과 중국 주재 대사는 미리 지명했지만, 주한대사는 공석으로 놔두다 취임 후 1년 6개월이 지난 2018년 7월에서야 해리 해리스 전 미 태평양군사령관을 임명한 바 있다.
그가 처음 미 대선에서 승리한 2016년 말과 이듬해 초도 당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정국이 진행되던 때여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통과돼 직무가 정지된 현재 한국 상황과 유사했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이 측근으로 꼽히는 릭 그레넬 전 국가안보보좌관을 북한 업무를 담당할 ‘특수임무 특사’로 지명한 것은 한국 입장에서는 ‘경고등’이 될 수 있다.
사실상 트럼프 당선인이 북한과의 소통을 목적으로 한 인선을 발표했다는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리더십 부재’ 상태인 한국을 건너뛰고 미국과 북한이 직접대화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