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이후 8개월만에 상승했지만,
지난달 다시 보합 전환
매물·미분양 주택 증가에
정치·정책 불확실성 커져
|
얼어붙은 고드름 뒤로 보이는 아파트 단지가 마치 현 부동산 상황을 보여주는듯하다. [이승환 기자] |
서울 주택매매 소비심리지수가 4개월 연속 하락하며 ‘상승’에서 ‘보합’ 국면으로 전환했다.
서울 주택매매심리의 보합 전환은 지난 3월 이후 8개월 만이다.
대출 규제 강화로 서울 주택 매매 소비심리가 약화된 탓이다.
최근 탄핵 정국 돌입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향후 관망·침체장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7일 국토연구원이 발표한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서울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9.8로 전달보다 7.9포인트 내렸다.
지수는 지난 7월 140.6으로 정점을 찍고 4개월 연속 떨어졌다.
11월 지수는 지난 1월(104.7) 이후 최저치로, 3월(112.7) 이후 다시 보합 국면이 됐다.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95 미만이면 하강, 95∼115 미만이면 보합, 115 이상이면 상승 국면으로 구분한다.
서울과 함께 경기의 주택매매심리 지수도 10월 111.2에서 105.4로 5.8포인트, 인천은 109.5에서 102.1로 7.4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지방의 주택매매심리 지수는 지난달 100.9로 5.8포인트 떨어졌다.
충남(112.4→98.0), 경남(112.6→101.5), 서울의 지수 하락 폭이 컸다.
반면, 제주(93.4→103.3)와 전북(110.6→117.6)은 상승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광주(94.4)의 주택매매심리 지수가 하강 국면이며, 상승 국면인 곳은 전북 한 곳이다.
이런 흐름을 종합한 전국 주택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104.0으로 전달 대비 6.1포인트 하락했다.
은 기간 전국 주택전세시장 소비심리지수는 96.2로 4.4포인트 하락했다.
주택과 토지를 합친 전국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4.9포인트 하락한 98.5로, 세 달 연속 떨어졌다.
탄핵 정국…침체된 주택시장 향방은
|
부동산중개업소가 밀집한 서울의 한 상가 복도가 유동인구 없이 한산하기만 하다. [이충우 기자] |
대통령 탄핵 정국 속에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더욱 깊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미 금융권 대출규제 강화 여파로 매수심리가 얼어붙어 매매 거래가 줄어들고, 매물 적체는 급증한 데다 미분양 주택마저 증가하는 상황에서 정치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극대화한 까닭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2월 1주(2일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2% 하락했다.
지난달 3주(18일 기준) 하락세로 전환한 이후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지수는 3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전일을 기준으로 한 만큼 이번 사태 영향은 다음 통계부터 반영될 전망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대통령이 모든 직무에서 물러난다고 발표했지만 탄핵안을 두고 여야 갈등이 해소되지 않았고 대통령이 조기퇴진할 경우 대선도 진행해야 한다”면서 “공시가격 현실화율 조정 등 보유세 증가 억제 기조가 계속될 수 있을지 불확실해지면서 부동산 시장에선 급박한 상황이 아닐 경우 거래에 소극적으로 나서는 수요자들이 늘어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탄핵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과 부동산 시장 침체는 과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된 직후인 2016년 말~2017년에도 나타났다.
당시 부동산 시장은 청약시장을 규제한 11·3 부동산대책과 가계부채 규제 방안을 담은 11·24 대책이 겹치며 불확실성이 커졌다.
12월 9일에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안이 국회에서 가결됐다.
한국부동산원이 조사한 주간 매매가격지수에 따르면 2016년 11월 1주(7일 기준) 88.36이던 전국 매매가격지수는 한 달 후인 12월 2주(12일)에는 88.46까지 상승한 후 12월 3주(19일 기준) 보합세로 돌아섰다.
이후 집값은 다음해 3월 1주(6일 기준) 상승 전환할 때까지 약세가 이어졌다.
같은 기간 거래량도 급감했다.
2016년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만2146건 기록했다.
이후 1월 5749건으로 급감한 후 12월 4225건, 2017년 1월 3735건으로 줄었다.
이후 아파트 거래량은 2017년 4월 9362건으로 우상향한 후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하며 불확실성이 대다수 해소된 5월 1만4830건으로 뛰어올랐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불확실성이 얼마나 빠르게 해소되느냐에 따라 시장 흐름이 달라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다른 부동산 전문가는 “단기적으로는 부동산 시장이 억제될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과거 사례를 봐도 대선 이후 인수위가 차례로 부동산 정책을 발표할 때마다 시장에서 기대감이 형성되면서 주택 가격이 상승한 바 있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