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익산시에 있는 하림산업 공장 단지 '퍼스트 키친' 전경(아래). 푸디버디 제품을 소개하고 있는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 하림

'온 국민의 첫 번째 주방'. 닭고기 명가의 가장(家長) 김홍국 하림그룹 회장이 꾸는 꿈이다.

하림은 조리하는 '퍼스트 키친', 가정집 부엌은 음식을 먹는 '세컨드 키친'이 됐으면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그래서 간편식 계열사 하림산업의 공장 단지 이름도 퍼스트 키친으로 정했다.

이곳에서 내놓은 브랜드 '더미식'을 가정간편식이 아닌 가정식이라고 규정한 것도 그다.

가정식 대체품이 아니라 가정식 자체가 돼야 한다는 의도가 담겼다.


지난 13일 전북 익산시 함열읍에 있는 퍼스트 키친을 찾았다.

김 회장의 모든 꿈이 응축된 곳이다.

닭고기 명가가 종합식품 명가로 발돋움하기 위한 전초기지다.

2021년 가동을 시작한 퍼스트 키친의 전체 면적은 12만3429㎡(약 3만7000평)로 축구장 17개를 합친 크기다.

가정간편식과 소스를 생산하는 K1, 즉석밥을 생산하는 K2, 면류를 생산하는 K3 등 식품 공장 3곳에서 더미식, '멜팅피스'(길거리 음식)와 '푸디버디'(어린이식) 상품들을 쏟아내고 있었다.

먼저 눈에 들어온 건 식품 공장보다는 퍼스트 키친 한복판에 자리 잡은 면적 2만4061㎡(약 7278평)짜리 육중한 건물이다.

하림이 약 1500억원을 투입해 만든 온라인 물류센터, FBH(Fulfillment by Harim)다.

이름은 아마존 물류센터 FBA에서 따왔다.

양옆 식품 공장에서 만든 간편식·라면·너깃 등을 별도 포장과 중간 유통과정 없이 소비자에게 직배송하는 시설이다.


공장과 물류센터를 연결하는 붉은 컨테이너 통로 3개가 보였다.

통로 내부엔 컨베이어 벨트가 있다.

공장에서 만들어진 상온·냉동·냉장 제품들이 이 벨트를 타고 물류센터로 모여든다.

제조생산시설과 유통판매시설을 하나로 묶은 건 국내 식품회사 중 하림이 유일하다.

하림 관계자는 "물류센터는 내년께 완전 가동이 가능할 것"이라면서 "종국엔 11㎞ 떨어진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에 있는 중소 식품기업의 물류 허브 역할도 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각각의 식품을 만드는 공장으로 이동했다.

K2에서는 귀리밥, 현미밥 등 하림의 더미식 즉석밥이 만들어진다.

레이저를 통해 부서지고 색이 변한 쌀알을 튕겨서 골라내는 첫 작업부터 특이했다.

하림은 더미식엔 밥알이 온전한 완전미만 담는다고 했다.

K2에서 1시간 동안 생산되는 즉석밥은 7200개에 달한다.

하루 생산량은 14만4000개다.

하림은 현재 유일한 생산라인을 능가하는 라인 하나를 증축하고 있다.

하림 관계자는 "경쟁사 중 가장 앞서 있는 회사가 생산라인을 17개 갖고 있고, 다음 업체가 12개 정도를 보유하고 있다"며 "생산라인을 하나 더 늘려 조만간 즉석밥 생산량을 2배 이상으로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장인라면' 등을 만드는 K3(3만3468㎡) 구역에선 납작한 반죽을 잘라 꼬불꼬불한 면 형태로 만드는 자동화 기계가 분주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K3에서 생산되는 라면은 한 시간에 3만6000봉에 달한다.

하루 생산량은 72만봉이다.


[익산 이효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