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에 이어 탄핵정국 후폭풍까지 겹치면서 저축은행과 상호금융권 등 2금융권이 돌발 사태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 대응 체계를 가동 중입니다.
비상계엄 해제 이후 2금융권 뱅크런(대규모 인출) 조짐 등 이상 징후가 발생하진 않았지만, 혹시 모를 금융 사고에 대비해 유동성 대응 체계 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수신 잔액이나 예금 입출금 등 유동성 추이를 실시간으로 점검 중입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유동성에 이상징후는 전혀 없다"면서도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매일 아침 회의를 열고 수신 모니터링은 24시간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특정 저축은행에서 3% 이상 예금 변동이 나타날 경우 관련 부서 등에 문자로 실시간 전달되는 시스템 등도 가동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작년 뱅크런 사태를 겪은 새마을금고중앙회도 지난 3일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직후 비상대응 계획에 따라 관련 부서 직원들이 곧바로 출근해 긴급 대응 회의를 했습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수신 상황 등에 큰 변동이 없었다"며 "작년 예금인출 사태 이후 유동성 관리 시스템이 강화돼 운영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신협중앙회도 간부회의를 하고 특이징후가 없는지 등을 실시간 점검했습니다.
금융당국도 2금융권과 유동성 점검 등 비상 대응 관련 논의를 이어간다는 방침입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유사 상황이 발생했을 때 비상 대응 체계가 바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금융당국과 저축은행업계는 최근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유동성에 영향을 주는 사태로 번지진 않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단기 자금 유출 등에 대응할 수 있는 유동성 비율은 3분기 기준 135.84%로 법정 기준(100%)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유사시 저축은행에 지원할 수 있는 예탁금을 10조원가량 보유하고 있으며, 개별 저축은행들이 자체 가용할 수 있는 자금도 17조원가량 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2금융권이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자산건전성 악화 등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시기를 맞은 만큼 '작은 불씨'도 조심해야 한다는 경계심이 큰 상황입니다.
이와 관련, 금융위가 이르면 이번 주로 예정됐던 저축은행 2곳에 적기시정조치 시기를 조정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고조된 가운데 특정 저축은행에 경영개선 조치를 요구할 경우 예금자들의 혼란이 증폭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적기시정조치를 안 하진 않겠지만 조금 시기를 조정할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고 전했습니다.
금융위는 상호금융권의 부동산·건설업 대손충당금 적립금 상향 방침과 관련해서도 업계 부담이 과도하다는 의견을 수용해 시기를 일부 조정하기로 한 바 있습니다.
충당금 적립률은 올해 말 120%, 내년 상반기 말 130%로 확대될 예정이었지만, 시행 시기 조정을 통해 내년 상반기 말 120%, 내년 말 130%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 현연수 기자 / ephalo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