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당히 비싸야 살 마음이라도”…서울 아파트 원정투자 ‘한풀’ 꺾였다

외지인 매입 비중 소폭 감소
6~8월 아파트값 올라 부담

서울 송파구의 아파트 일대 전경. 매경DB
올해 지방 거주자들의 서울 아파트 원정 매입 비중이 작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들어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주춤하고 있긴 하지만 상반기 이어진 가격 급등세가 영향을 미쳤다.

무엇보다 지방 거주자들도 자신의 부동산을 일부 팔아 서울 투자를 해야 하는데, 3년째 지방 아파트값 하락이 지속되고 있어 투자 여력이 크게 줄어들었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매입자 거주지별 아파트 매매 현황에 따르면 올해 1~10월 서울 거주자 외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전체의 22.7%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4.9%보다 낮고 지난해 전체인 24.6%보다도 2%포인트가량 감소한 수치다.


외지인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018년 20.7%로 처음 20% 선을 넘었다.

그 뒤 지난해 24.6%로 2006년 1월 관련 통계 조사를 시작한 이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1∼2022년 집값 하락 후 상대적 안전 자산인 서울 아파트로 매수세가 몰리며 서울 핵심 단지를 중심으로 유입이 늘었다.


하지만 올 초부터 서울 아파트값이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는 등 가격이 치솟자 외지인 투자는 주춤해졌다.

지난해 역대 최대 외지인 매입 비중(30.6%)을 기록한 마포구는 올해 1~10월 25.4%로 축소됐다.

강남구는 23.6%에서 23.1%로, 서초구는 23.4%에서 21.8%로, 송파구는 29.2%에서 26%로 떨어지는 등 강남 3구의 외지인 매입 비중도 올해 들어 모두 감소했다.


특히 중저가 단지가 많아 외지인들의 투자 관심 지역으로 늘 꼽히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에선 하락폭이 더 컸다.

노원구는 21.2%에서 20.4%로 소폭 줄어든 데 그쳤지만 도봉구는 20.4%에서 15.8%로, 특히 강북구의 경우 36%에서 16.4%로 크게 감소했다.


그나마 한강을 끼고 있어 정비사업 호재 지역으로 떠오른 성동구에선 외지인 매입 비중이 지난해(23.9%)보다 높은 25.5%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올해 1~10월 성동구의 아파트값 누적 상승률은 9%로 서울 평균(4.3%)의 2배를 넘는다.


서울 거주자의 지방 아파트 매수 비중은 올해 10월까지 5.3%로 지난해 5.2% 수준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지방 아파트값이 계속 떨어지고 향후에도 이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자 서울 거주자의 투자도 늘지 않은 것이다.

서울 거주자의 원정 투자는 아파트값이 급등한 2021년 8.9%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2022년부터 지방 아파트값이 약세로 돌아서자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최근 서울에서 신고가가 많이 나와 잠시 조정기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지방 거주자들은 서울 아파트를 갭투자 형태로 사들이는 데 여전히 높은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내년 초 대출 한도가 완화되거나 하면 이들의 서울 부동산 투자는 다시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