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2공장 철수위한 ‘박스업’
경쟁 심화에 4분기 연속 적자
매출 3조~4조 공장 멈출 위기
국내 석화업계 위기 확산 촉각
정부 내달 종합지원대책 발표
실적악화와 유동성 위기로 어려움에 쳐한
롯데케미칼이 수십 년간 효자노릇을 해온 핵심 제품군 생산 공장에 대해 칼을 빼든 것은 위기극복을 위한 회사의 의지가 투영된 것이다.
뼈를 깎는 고통을 이겨내지 못할 경우 재도약은 고사하고 현재 상황 극복도 쉽지 않은 만큼 전방위적 구조조정도 불사하겠단 태세다.
28일 석유화학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주요 생산공장 전반에 대한 운영 효율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과다생산으로 재고가 쌓인 플라스틱 제품군을 수요처 확보와 함께 더 이상 수익화가 어려운 제품군에 대한 과감한 정리도 포함됐다 .
특히 여수2공장에서 생산 중인 에틸렌글리콜(EG)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생산시설은 최근 박스업(Box-Up·철수 전 정리)을 위한 준비단계에 들어간 상태다.
여수국가산업단지 관계자는 “
롯데케미칼 여수2공장의 EG와 MMA 생산시설에서 생산량을 줄이며 박스업을 위한 준비에 나서고 있다”며 “공장을 멈추는 과정이 시간이 걸리는 일이지 박스업이 시작되면 금방 공장이 정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석유화학산업업계에서 쓰이는 박스업은 사실상 공장 운영 중단을 위한 전 단계로 불린다.
정기 보수를하거나 점검을 위해서도 박스업이 이뤄지기도 하지만 현장 분위기는 사실상 공장 폐쇄를 위한 수순으로 보고 있다.
롯데케미칼 협력업체 관계자는 “공장이 완전히 문닫지 않더라도 재고가 쌓이는 문제나 인건비 절감을 위해서라도 박스업이 진행될 예정이다”고 밝혔다 .
한때 3조원 가까운 영업이익을 내며 롯데그룹의 주축을 담당했던
롯데케미칼이 이제는 위기설의 진원지가 됐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3분기 4136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4개 분기 연속 적자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현재 여러 공장에서 운영 최적화를 위한 여러가지 방안을 검토 중이다”며 “구체적으로 공장을 멈추거나 폐쇄하는 것이 확정된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런 위기가 국내 석유화학업계 전체에 번지고 있다는 점이다.
중국서 과생산된 범용플라스틱 제품으로 인해 주요 수출국이던 중국 시장이 사실상 사라진데다 오히려 중국산 플라스틱이 역으로 국내 시장으로까지 침투하고 있다.
실제 2023년 중국의 연간 에틸렌 생산능력은 5174만톤(t)으로 5년 전인 2018년(2565만t)의 두 배를 넘어섰다.
게다가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두고 수출기업 전반으로 산업 부진 우려가 커지며 산업 전반에 먹구름이 드리워져 있다.
LG화학 역시 여수산단 내 스티렌모노머(SM) 공장 가동중단을 검토중이다.
한화솔루션 역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7000억대 규모의 영구채를 발행했다.
업계에선 정부 차원에서 전향적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로 말하고 있다.
한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금융지원과 산업용 전기료 차등 지원 등 석화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지원이 필수적이다”며 “구조조정과 기업간 인수합병에 앞서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지원이 선제적으로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
시계제로의 위기 상황에 처한 국내 석유화학산업을 심폐소생하기 위한 기업과 정부정책의 방향성이 분명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상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교수는 “무작정 고부가가치 석유화학제품(스페셜티)만 키워야 하는 것도, 범용 플라스틱 제품을 무작정 포기하는 것도 정답이 아니다”며 “결국 범용 플라스틱 생산량을 적절한 수준으로 줄여가며 스페셜티 제품군이 그만큼 성장해주는 균형감 있는 전략이 기업단에서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다음달께 대대적인 석유화학 업계 지원을 위한 종합대책을 발표한다.
세제 감면 혜택, 인수합병(M&A) 규제 완화를 포함한 각종 방안이 거론된다.
정부는 기업간 인수합병을 촉진하기 위한 각종 방안들도 검토하고 있다.
인수합병으로 석화기업들이 규모의 경제를 이룰 경우 고정비용이 줄어 중국발 저가공세를 버틸 체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특히 합병과정에서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공정거래법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주주총회 없이 이사회 결의만으로 합병 여부를 결정하는 ‘기업활성화법’ 적용 기준을 완화하는 안도 논의된다.
양도세·취득세 등을 감면하거나 이연해 당장의 기업 부담을 줄이는 안도 검토 중이다.
석유화학업계의 가장 큰 관심사이기도 한 납사(나프타)·나프타 제조용 원유에 대한 할당관세 0% 유지 여부도 관심사다.
산업계의 쌀이라 불리는 나프타는 석유화학제품 생산에 가장 기본이 되는 원재료로 석유화학제품 원가의 70%를 차지한다.
특히 석유화학제품 생산을 위한 나프타 수입에 대한 면세는 연간 1000억원 가량의 원가비 감소 효과를 가져온다.
정부는 이미 선제적으로 사업 재편을 추진한 일본 석유화학 산업 현황을 참고하기 위해 긴급 연구 용역도 발주한 상태다.
정부 주도의 인수·합병 또는 기업통폐합에 대해 이 교수는 “인위적인 인수·합병은 득보다 실이 많고 자율적인 시장 조절이 가능하도록 정부가 환경을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며 “결국 인수합병을 위한 규제 완화 역시 이러한 자율적 인수합병 환경 조성의 일환이란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