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일대 아파트 단지 전경. [매경DB] |
건설산업硏 전망
수도권은 1% 상승 강보합
지방은 올해 이어 2% 하락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하락하고 전세가격은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수도권의 경우 매매가가 소폭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분석됐다.
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건산연)은 ‘2025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를 개최하고 내년 시장 분위기를 진단했다.
건산연은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이 1.0% 하락하는 반면 전세가격은 1.0%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도권 주택가격이 1.0% 상승하는 강보합세를 보이는 반면, 지방은 2.0%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다.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시장 심리가 연초 대비 상당폭 회복됐지만 여전히 과거 대비 부담스러운 가격 수준”이라며 “9월 이후 은행의 대출심사 강화, 전반적인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올해 상반기와 같은 가격 상승은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세시장의 경우 매매 수요 축소로 인한 임대차 시장으로의 수요 유입과 내년 입주물량 감소가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월세 전환이 진행되고 있으나 전월세 전환율 하락과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시중 상품금리 인하 영향으로 전환 속도는 다소 둔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다만 전세자금대출의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편입 논의, 주택 소유자 변경 시 전세자금대출 제한 등은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
2025년 주택가격 전망 2025년 주택가격 전망. 한국건설산업연구원 |
내년 공동주택 분양은 29만호 수준으로 예상됐다.
김 부연구위원은 “신축 아파트에 대한 시장 수요가 확인됐고, 누적된 미착공 물량과 3기 신도시 사업장의 본청약 일정 등을 고려하면 분양 물량이 다소 증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위축적인 공급자 금융 시장과 시공사에 대한 신용보강 및 초기분양 실적 요구 등 해결되지 않은 분양 관행이 제약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건설산업연구원은 내년 건설수주가 전년 대비 2.2% 증가한 210조 4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공공수주는 SOC 예산 감소 영향으로 1.7% 감소하나, 민간수주는 금리 하락과 3기 신도시 추진 영향으로 4.1%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건설투자는 전년 대비 2.1% 감소한 295조 300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지혜 건산연 연구위원은 “2022~2023년 건축 착공 감소 영향이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까지 건설투자 부진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투자 회복을 위한 지원 강화 및 관련 규제 합리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