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유럽연합(EU)이 지난 수년간 중국과 무역분쟁을 벌이며 '디커플링(탈동조화)'에 나서고 있지만, 오히려 대중(對中) 의존도가 더 높아졌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독일 비영리 싱크탱크인 메르카토르 중국연구소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미국은 약 5000개 품목 중 532개(2022년 기준)에서 중국산 수입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0년과 비교해 4배 증가한 규모다.

EU도 2004년에 비해 약 3배 늘어난 421개 품목을 중국산에 의존하고 있다.


연구소는 이번 보고서에 대해 "미국과 EU의 대중 수입 의존도가 기계 및 전자 장비에서 가장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며 "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일정 수준의 의존도가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반면 중국은 2000년과 비교해 미국·EU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대미 수입 의존 제품 수는 116개에서 57개, 대EU 수입 의존 제품 수는 235개에서 120개로 감소했다.

미국과 EU보다는 '제3 지역'에 대한 의존도가 더 늘어났다.


프랑수아 시미츠 메르카토르 중국연구소 수석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선진국의 '기술 집약적' 투입에 대한 필요성을 줄이면서 '의존의 비대칭성'을 조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베이징 송광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