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구성원들이 지난 26일 인공지능(AI) 폐쇄회로(CC)TV 화면을 분석하면서 ‘AI 산업안전 패키지’를 테스트하고 있다.

[사진 = SK텔레콤]

이동통신업계에서 산업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동통신회사들은 근로자 작업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기지국 안전시설물 공동 구축을 선언한 데 이어 인공지능(AI)를 도입해 중대 사고 예방에 힘쓰는 모습이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이동통신사 산업재해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4년 6월까지 총 144명의 산업재해자가 발생했다.

이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재보상 승인자료를 기반으로 산출됐다.

사망자와 질병자를 합산한 규모다.


회사별로 KT에서 가장 많은 109명의 산업재해자가 나왔다.

LG유플러스에서는 33명이 산업재해자로 분류됐다.

SK텔레콤은 2명의 산업재해자가 발생했다.


이에 이통사들은 공사 현장에 첨단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전날 ‘AI 산업안전 패키지’를 출시했다.

▲AI 영상 관제 ▲작업자 안전 관리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안전 교육 ▲환경·설비 모니터링 등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폐쇄회로(CC)TV, 드론, 캠 등의 장비로 촬영한 영상을 AI로 분석해 보안 위협과 사고 상황을 감지한다.

외부인의 침입, 작업자의 낙상, 공장 화재 등의 사고를 즉시 파악해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갖췄다.

작업장에 설치된 센서를 활용해 화재, 가스, 미세먼지 등을 측정하고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관제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해 주기도 한다.

근로자가 AR·VR 콘텐츠를 통해 가상현실 속에서 위험 상황을 대비하는 훈련 역시 주기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AI 솔루션 도입 이후 사고 인식부터 후속 조치를 포함한 전체 사고 대응 시간이 기존 대비 약 84% 단축되는 효과가 나타났다”며 “화재는 10초 이내, 낙상·침입은 3초 이내에 감지가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사진 = 연합뉴스]
KT는 AI 산업안전 관리 플랫폼 ‘올 인 세이프티’를 그룹사와 협력사로 확대 도입했다.

작업자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작업계획서를 등록하면 AI가 위험성을 평가하고 자동으로 리스크 등급을 분류해 관리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플랫폼이 동작한다.


AI 가상펜스 솔루션도 내세웠다.

AI 가상펜스는 3차원적(3D) 입체 영역에 대한 감지 기능에 AI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복잡한 환경에서도 사람과 사물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행동 감지를 통해 사고를 예방하고 사업장 내 위험구역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LG유플러스도 발 빠르게 작업 현장에 AI를 접목했다.

LG유플러스는 스마트 안전관리 솔루션을 운영 중이다.

▲운전자 행동 분석 ▲장비 간 충돌방지 ▲스마트 보디캠 ▲안전모 감지 등에 AI를 활용했다.

운전자의 표정과 행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위험 신호를 감지하고 경고를 보내는 등 중대 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다.


앞서 이통사들은 공사 현장 작업자의 안전 확보와 사고 방지를 위해 기지국 안전시설물을 공동 구축을 목표로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건물 옥상과 철탑 위에서 이뤄지는 기기 설치 작업이 많은 업무 특성상 사고 빈도가 가장 높은 추락을 예방하려는 조치다.

이통사들은 담당 구역에 수직 사다리, 등받이울, 안전 발판, 안전 고리 등을 설치하고 있다.


이정문 의원은 “기지국을 구축하거나 점검 또는 수리할 때 통신설비 공사 현장에서 사망하는 근로자가 매해 발생하고 있다”며 “통신사는 사후 약 처방이 아닌 작업 현장의 안전을 확보해 노동자의 생명과 건강 보호를 최우선으로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