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저가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움직임을 놓고 국내 철강업계와 조선업계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철강업계는 자국 산업을 위해 보호 장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반면 조선업계는 현대제철의 중국산 후판 반덤핑 제소가 받아들여질 경우 대형 조선사뿐 아니라 중견·중소 조선 기자재 업체에 타격을 줄 수 있다면서 우려하고 있다.


국내 조선업계는 현대제철의 반덤핑 제소 여파로 선박 건조 원가가 상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후판은 선박 건조 원가의 약 20~30%를 차지하는 주요 소재로 선박 외장재로 주로 쓰이지만 선박 내 보일러와 연료탱크 등 선박 기자재 분야에도 활용도가 높다.

국내산보다 t당 20만원가량 저렴한 중국산 후판을 사용하면 원가 절감 효과를 노릴 수 있다.

국내산보다 18%가량 저렴한 셈이다.


하지만 중국산 후판이 반덤핑 관세를 얻어맞으면 이런 원가 절감 효과가 크게 줄어든다.

특히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조선 기자재 업체의 경우 중국 업체에 부과하는 반덤핑 관세의 충격을 고스란히 떠안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된다.

결국 선박 건조의 전반적 비용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게 조선업계의 목소리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국내 조선 3사(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대형 조선사들의 중국산 후판 수입 비중은 평균 약 20%에 이른다.

조선업계는 반덤핑 조치로 인한 비용 상승으로 후판에 대한 국내 의존도가 커질 경우 공급망 리스크에 취약해질 수 있다는 주장도 내놓는다.

중국산 후판 수입 비중이 30~50%에 육박하는 국내 중형 조선사들(HJ중공업, 케이조선, 대한조선 등)은 어려움이 더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조선사들이 탱커, 컨테이너선, 벌크선 등에서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우위를 점하면서 국내 중형 조선사들의 글로벌 중형 선박 시장 수주 점유율이 2021년 5.1%에서 지난해 1.8%까지 추락했다.


중형 조선사의 한 관계자는 "컨테이너선 등 상대적으로 저가 선종에서 중국과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산 후판 수입 비중이 점점 높아지는 추세"라며 "반덤핑 조치로 후판 비용이 상승하면 중국과의 선박 경쟁은 더 힘들어지는 게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반면 철강업계는 중국산 저가 철강재의 밀어내기를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중국의 경기 회복 지연으로 중국 내에서 과잉 생산된 물량이 최근 전 세계에 대거 풀리고 있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중국산 후판 수입량은 올 8월 누적 기준 81만t으로 지난해 연간 수입량의 73% 수준에 달했다.

올 상반기 중국산 후판 수입량은 약 69만t으로 이미 2022년 한 해 수입량을 넘어섰다.


조선업계의 우려를 풀 해결책이 없는 건 아니다.

조선사들이 '보세공장 제도'를 활용하면 면세 혜택을 누릴 수 있어 이번 반덤핑 제소에 따른 피해가 크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HD한국조선해양의 경우 보세공장을 활용해 해외에서 철강재를 수입하고 있어 무관세 혜택을 누리고 있다.


문제는 사용신고 방식을 쓰지 않는 상당수 조선사다.

조선업계는 그동안 수입 방식과 관계없이 세계무역기구(WTO)의 철강 무관세 협정 원칙을 적용해 사실상 무관세로 수입을 해왔다.

다만 반덤핑 관세가 부과되면 수입신고 방식은 기존의 무관세 혜택을 누릴 수 없게 된다.

한화오션삼성중공업을 비롯한 다수의 조선사가 수입신고 방식으로 철강재를 들여오고 있다.


[조윤희 기자 / 최현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