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통화정책 변곡점 ◆
지난달 31일(현지시간)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마친 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띄우자 시장에서는 올해 세 차례 인하 전망이 급부상했다.

연준의 피벗(통화정책 전환) 선언으로 글로벌 통화정책이 긴축에서 완화로 전환되는 변곡점을 맞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CME그룹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의 9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은 이날 100%를 찍었다.

금리 0.25%포인트와 0.5%포인트를 인하할 가능성이 각각 88.5%와 11.5%로, 베이비스텝을 점치는 이가 많았다.

9월뿐 아니라 11월과 12월 인하 가능성도 각각 75.6%, 75.8%로 높았다.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기점으로, 올해 금리 인하 기대 횟수가 세 차례로 늘어난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파월 의장이 확실한 '비둘기(완화적 통화정책 선호) 신호'를 보냈기 때문이다.

특히 파월 의장의 발언은 기준금리 인하에 가까워졌음을 시사한 FOMC 성명서보다 더 비둘기적이었다는 평가가 많았다.

블룸버그는 성명서와 파월 의장 발언의 수위가 차이를 보인 데 대해 "FOMC 참가자들이 파월 의장만큼 인플레이션 진전에 대해 낙관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연준은 성명서에서 "인플레이션 2% 목표를 향한 '일부(some)' 진전이 최근 몇 달간 있었다"고 평가해 지난 6월 성명서의 '제한적인(modest)' 진전이 있었다는 표현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갔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높다는 기존 표현에 '다소(somewhat)'라는 수식어를 새롭게 넣어 둔화 과정임을 시사했다.

또 일자리 증가에 대해 기존의 '강하다(strong)'는 표현 대신 '완화됐다(moderate)'고 바꾸고, 실업률은 '상승(move up)'했다는 표현을 새롭게 적시했다.

노동시장도 더 냉각된다는 평가였다.


이에 비해 파월 의장은 "올해 2분기 데이터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로 향해 간다는 확신을 더했다.

노동시장은 정상화되고 있고, 팬데믹 전인 2019년 수준으로 돌아갔다"고 진단해 성명서보다 더 진전된 평가를 내렸다.

특히 파월 의장은 현 경제에 대해 사실상 '골디락스(물가 안정 속 성장)'라고 진단했다.

그는 경착륙 가능성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낮다"면서 "지금 경제가 과열됐다거나 약화된다는 조짐이 없다.

우리가 원하는 경제 상황"이라고 답했다.


파월 의장이 연준의 물가 안정과 완전 고용이라는 두 가지 책무의 균형을 강조한 점도 기준금리 인하가 임박했음을 시사한다.


그는 "최근 몇 년간 물가 안정 목표에 더 집중했지만 인플레이션이 진정되면서 노동시장도 면밀히 살피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고용시장이 예상치 못하게 급격히 냉각하면 인플레이션 하강 없이도 기준금리 인하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오는 9월 18일 FOMC에 앞서 발표될 두 번의 소비자물가지수(CPI)와 두 번의 고용보고서가 실제 9월 기준금리 인하 여부를 결정지을 핵심 경제지표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주(7월 21~27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4만9000건으로 한 주 전보다 1만4000건 증가했다고 1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첫째 주간(25만8000건) 이후 약 1년 만에 가장 많은 수치다.

미국 고용상황이 악화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본격적으로 통화정책 방향을 틀기 시작했다.

지난 6월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유럽중앙은행(ECB)은 9월에도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캐나다는 주요 7개국(G7) 중 처음으로 이미 6·7월에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했다.


반면 일본은행은 지난달 31일 단기정책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올 3월 8년 만에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폐기한 데 이어 4개월 만에 다시 금리를 올렸다.


[뉴욕 윤원섭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