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미국 대선을 불과 4개월 앞두고 바이든 대통령이 재선을 전격 포기한 가운데, 대통령 선거 결과에 국내 산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특히 제약바이오 업계에서는 현 정권에서 생물보안법을 추진하는 등 변화가 컸던 상황인터라 향후 생겨날 변수에도 귀를 기울이고 있는데요.
보도에 길금희 기자입니다.


【 기자 】
제약바이오 업계가 다가올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선거 투표까지 4개월 앞으로 다가온 상황 속, 글로벌 최대 시장인 미국의 수장에 누가 앉느냐에 따라 업계 정책 기조에 변화가 클 것으로 보기 때문입니다.

하나증권이 이번주 발간한 산업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전문가들이 미 대선 후보의 헬스케어 정책 중 제약바이오산업에 가장 영향이 클 것으로 지적한 부분은 바로 약가 인하였습니다.

앞서 사퇴한 바이든과 트럼프 후보 모두 약가에 대해서는 인하 기조를 보였지만, 둘 사이 미묘한 차이가 있다는 분석입니다.

바이든의 정책이 미국 공공의료보험기관 CMS와 제조사가 약가를 협상하는 직접적인 방식이었던 데 반해 트럼프는 과거 대통령 시절 간접적인 방식을 취했습니다.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약가 인하 정책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해석입니다.

다만 트럼프가 2020년에 서명한 행정 명령에서 메디케어 약가가 최혜국 약가 대비 낮아야 한다는 급진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변수도 남아있습니다.

보고서는 또 바이든 정권 내내 주목을 받은 생물보안법과 관련한 전망도 내놨습니다.

국내 바이오 기업들이 집중하고 있는 생물보안법은 미국이 최대 경쟁국인 중국으로부터 자국민의 유전정보 등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법안에서 중국의 우시바이오로직스 등 대기업들의 제한을 명시한 탓에 바이오시밀러와 CMO를 취급하는 국내 경쟁사들에겐 오히려 호재로 작용한 법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트럼프가 당선돼도 생물보안법은 예정대로 입법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생물보안법 자체가 공화당, 민주당이 함께 발의한 초당적 법안이고, 트럼프도 중국 제조 의약품의 수입을 줄여야 한다는 주장을 계속 해왔기 때문입니다.

미 대선이 4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새 수장 교체로 어떤 득과 실을 가져갈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매일경제TV 길금희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