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지난해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서 가구당 순자산이 2%가량 늘어나는 데 그쳤다.
같은 이유로 우리나라 경제주체들이 보유한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 증가율도 2%대에 머물렀다.
한은과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인당 가계 순자산 추정치는 2억4427만원으로, 전년(2억4039만원) 대비 불과 1.6% 늘었다.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에서는 가계 부문만 따로 추계하지 않기 때문에 이 추정액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1경2632조원)을 추계 인구(약 5171만명)로 나눈 값이다.
시장환율(2023년 중 1306원/달러)로 환산한 1인당 가계 순자산은 18만7000달러로, 미국(46만5000달러)·오스트레일리아(39만3000달러)·캐나다(28만2000달러)·프랑스(23만달러)·독일(22만4000달러)·영국(21만3000달러)보다 적지만 일본(18만3000달러)보다는 많다.
구매력평가환율(2023년 중 933원/달러) 기준으로는 한국(26만2000달러)이 일본(22만9000달러)뿐 아니라 영국(23만7000달러)도 앞섰다.
미국(46만5000달러)·오스트레일리아(39만3000달러)·캐나다(29만8000달러)·프랑스(29만6000달러)·독일(29만3000달러)은 우리나라를 웃돌았다.
다만 오스트레일리아·캐나다·프랑스·독일·일본의 순자산과 환율은 2022년 말 기준이기 때문에 직접 비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1경2632조원)은 전년 대비 1.7%(210조원) 커졌다.
집값 하락에 따라 2.3%(-147조원) 줄어든 주택자산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0.4%(-38조원) 감소했지만, 주가 반등 등에 힘입어 금융자산은 4.7%(+233조원) 늘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 구성을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주택 50.3% ▲주택 이외 부동산 25.2% ▲현금·예금 19.1% ▲보험·연금 11.5% 순이었다.
부동산 경기 부진과 함께 주택을 포함한 부동산의 비중이 2022년 77.1%에서 지난해 75.5%로 떨어졌다.
모든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국민순자산은 2경3039조원으로, 전년보다 2.1%(472조원) 증가했지만, 증가 폭은 2022년(3.1%·688조원)과 비교해 크게 줄었다.
국민순자산 증가율이 낮아지면서 지난해 말 기준 명목 국내총생산(GDP·2401조원) 대비 배율(9.6배)이 2022년(9.7배)보다 떨어졌다.
김민수 한은 국민B/S팀장은 국민순자산 증가세 둔화 배경에 대해 “비금융자산 중 토지 자산이 38조원 감소한 데다, 순금융자산의 증가 폭도 1년 사이 202조원에서 30조원으로 급감했기 때문”이라며 “특히 국내외 주가 상승과 환율 변동이 거주자의 평가이익(대외금융자산)보다 비거주자의 평가이익(대외금융부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면서 거래 외 금융자산 증감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1년 전보다 1.2%(207조원) 많은 1경6841조원으로 집계됐다.
주택가격 하락 영향으로 주택시가총액(6839조원)은 1.7%(-118조원) 줄었다.
이에 따라 GDP 대비 배율도 1년 사이 3.0배에서 2.8배로 낮아졌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