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을 비롯한 2금융권의 건설·부동산 업종 관련 건전성 악화 지표가 집계 이래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았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부남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현재 전체 금융권의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각 116조2천억원·500조6천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비은행권에는 ▲저축은행 ▲상호금융(새마을금고 제외) 보험회사 ▲여신전문금융회사가 포함됐습니다.

두 업종의 잔액 모두 한은이 해당 업종 대출 통계를 금융업권별로 나눠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가장 많을 뿐 아니라 사실상 역대 최대 규모입니다.

지난해 1분기(▲건설업 112조1천억원 ▲부동산업 478조2천억원)보다 각 3.66%·4.68% 늘었습니다.

2022년 1분기(101조4천억원·437조2천억원)와 비교하면 2년 새 14.60%·14.50% 증가했습니다.

대출 규모뿐 아니라 부실대출 지표도 통계 작성 이래 최고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특히 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올해 1분기 기준 각 7.42%·5.86%로, 역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의 경우 저축은행에서 건설업이 19.75%, 부동산업은 14.26%에 이르렀습니다.

역시 최고 기록일 뿐 아니라, 건설업의 경우 2년 전(2.22%)의 8.9배 수준입니다.

저축은행 사태 직후 2013년 건설업종의 이 비율이 30%를 웃돌았는데, 당시 수준에 빠르게 근접하는 셈이다.

부동산업도 최근 1년, 2년 사이 각 3.3배(4.36%→14.26%), 7.8배(1.82%→14.26%)로 치솟았다.

한은은 최근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충당금 적립 확대, 자본 확충 등으로 금융기관 손실 흡수능력이 커진 점을 고려하면 PF 사업장 잠재 위험이 시스템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작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동시에 "일부 비은행업권의 연체율이 빠르게 오르고 있는 만큼, 부실자산에 대한 경·공매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라고도 강조했습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이러한 우려에 대해 "경·공매 추진, 자체 상각 등으로 건전성 관리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업계 분위기를 전했다.

[ 김우연 기자 / kim.wooyeon@mktv.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