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경기 회복을 두고 정부와 국책연구원 간 진단이 3개월째 엇갈리고 있다.

정부는 내수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보는 반면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수 회복세를 판단하긴 이르다며 시각차를 드러냈다.


12일 기획재정부는 '7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발표하면서 "물가 안정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제조업·수출 호조세에 내수 회복 조짐이 가세하며 경기 회복 흐름이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지난 5월, 6월 보고서와 크게 다르지 않은 분석이다.

다만 지난달 '물가 상승세 둔화'라는 표현 대신 이번에는 '물가 안정 흐름'이라고 진단하면서 최근 물가 안정세를 반영했다.


특히 정부는 3개월째 '내수 회복 조짐'을 언급하며 긍정적 평가를 내려 실제 지표나 체감 내수경기를 감안하면 현실과 동떨어진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8일 발표된 KDI 경제동향 보고서와 비교해도 상반된 평가다.

KDI는 보고서에서 "수출은 정보통신기술(ICT) 품목 및 반도체를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면서도 "고금리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경기 개선세는 다소 미약한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KDI는 연초에 높았던 전산업생산 증가세가 5월부터 다소 조정된 점을 꼽았다.

특히 자동차와 전자장비 생산이 각각 전년 대비 1.9%, 18.0% 감소하면서 경기 전망이 악화됐다는 분석이다.

도소매업(-1.4%), 숙박 및 음식점업(-0.9%) 등 서비스업도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내수를 지탱하는 소비 역시 대다수 부문에서 부진하다는 게 KDI 분석이다.

KDI는 지난 5월 경기동향 보고서에서도 "수출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이 같은 엇박자에 대해 통계 비교 시점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김귀범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KDI는 '전년 동월비'로 발표하는 반면 정부는 '전월 대비'로 한다"며 "KDI는 보다 장기간에 걸친 경기 변화를 분석하기 때문에 정부 분석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과 교수는 "KDI는 금리 인하 등 정책 제안을 많이 해야 하는 반면 정부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주는 것이 중요해 보수적으로 해석한다"며 "결국 같은 데이터에 대한 해석의 차이"라고 지적했다.


[한재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