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쉬'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 이용자들의 급증으로 국내 이커머스 업체들은 극도의 긴장 상태지만 역시 위험에 노출되긴 마찬가지인 양대 포털 네이버[035420]와
카카오[035720]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네이버와
카카오의 실적 발표를 보면 중국 플랫폼 공세에 대한 우려에도 좋은 성적을 거뒀습니다.
네이버의 연결 기준 1분기 영업이익은 4천393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32.9% 급증하면서 역대 최대를 기록했고 매출 역시 2조5천261억원으로 1분기만 놓고 보면 역대 최대였습니다.
카카오 역시 1분기 매출이 1조9천884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2.5% 늘며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였고 영업이익은 1천203억원으로 1년 전보다 92.2% 늘었습니다.
이런 성과에는 전자상거래의 탄탄한 성장이 한몫했습니다.
네이버의 커머스(상거래) 부문 매출은 작년 1분기보다 16.1%,
카카오의 상거래 사업인 '톡비즈' 매출은 8%씩 늘어났습니다.
1분기만 따지면 중국 플랫폼들은 두 회사에 위협이 아니라 오히려 '반가운 손님'이었습니다.
이들 업체가 국내 포털에서 대규모 광고비를 지출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까닭에 네이버 최수연 대표는 중국 플랫폼들에 대해 "경쟁자가 아닌 파트너"라고 표현하기까지 했습니다.
네이버 관계자는 "중국 플랫폼 업체들이 우리 실적에 끼치는 영향이 없지 않겠지만 매출을 늘리기 위한 다각적 노력 덕분에 잘 방어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네이버는 이용자의 특정 검색어와 연관된 광고를 보여주는 '검색광고' 기능을 개선하고 소비자가 안내받은 상품 도착일에 정확히 배송받을 수 있게 하는 '도착보장'을 도입하는 등 서비스 향상에 공을 들였습니다.
IT(정보기술) 업계에서는 네이버가 기본적으로 판매자와 구매자를 중개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큼 중국 플랫폼들의 영향이 제한적이라는 분석입니다.
최수연 대표는 1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네이버가 이제 광고, 마케팅, 쇼핑, 플레이스, 결제 등 모든 온라인 서비스를 연결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카카오는 전자상거래의 주요 고객층이 다르다는 점에서 중국 플랫폼들과 경쟁이 심하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카카오 비즈톡의 핵심인
카카오톡 '선물하기'의 이용자들은 타인에게 주려는 물품 구입의 기준으로 품질 등 여러 가지를 꼼꼼히 따진다는 것입니다.
정신아 대표는 "'선물하기'는 서비스 특성상 가치를 전달하는 상거래"라며 "이용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프리미엄 상품을 중심으로 선물에 특화되고 차별화된 상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반면 중국 플랫폼 업체들은 지금까지 저가 상품을 앞세운 물량 공세에 주력해왔습니다.
최근 BC카드의 결제 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국내에 진출한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 거래의 대부분은 결제액이 3만원 미만이었습니다.
그러나 네이버와
카카오가 이른바 'C-커머스'(China+이커머스)로 불리는 외풍에 아직은 흔들리지 않고 있다고 해도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게 IT 업계 지적입니다.
중국 플랫폼들이 한국 시장 공략을 더욱 강화할 경우 국내 업체 전반에 위협이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입니다.
정신아 대표도 1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들이 앞서 진출한 미국 사례를 보면 급격한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가 기존 광고주들의 매출 등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있어 국내 이커머스 산업의 전반적인 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길금희 기자 / golden@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