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혼다·닛산 등 日 ‘빅3’
차량용 소프트웨어 공동 개발
API 사용도 공동화해 운용키로

최근 2023 회계연도 실적을 발표한 사토 코지 도요타 사장 [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는 가운데 일본 ‘빅3’ 자동차 회사로 불리는 도요타·혼다·닛산이 손을 잡았다.

차량용 소프트웨어를 공동으로 개발해 비용을 줄이고 규모의 경제를 키워 이들과 경쟁하겠다는 각오다.


16일 요미우리신문은 2025년 이후를 목표로 일본 완성차업체 3곳이 차량에 탑재하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협력하는 방향으로 검토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과 국토교통성이 이달 마련하는 자동차 디지털 전략에 이런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3사는 올여름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해 내년 이후 협력을 시작한다.

또 다른 일본 완성차업체인 스즈키와 마쓰다, 스바루, 미쓰비시자동차 등과도 협력을 검토한다.


3사는 이를 통해 개별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드는 비용 부담을 줄이면서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소프트웨어 개발 협력에서 더 나아가 향후 소프트웨어와 시스템을 연결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사양을 공통화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이렇게 되면 배터리나 센서 등도 공통으로 탑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마트앱처럼 외부 기업이 서비스 개발도 할 수 있게 된다.


공통 사양을 선정해 3사가 개발하기에는 많은 난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도 협력을 시작하는 것은 차량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면서 차량의 경쟁력을 좌우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신 차량의 경우 핸들 조작과 브레이크 등 기본 기능도 소프트웨어가 제어한다.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는 스마트폰처럼 인터넷을 통해 차량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면서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게 하고 있다.

테슬라는 유료로 기능도 추가하게 하는 등 판매 후에도 소프트웨어를 통해 돈을 버는 새로운 수익 구조를 만들어 냈다.


중국 업체들도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차량에 탑재하기 시작했다.


이와 관련해 혼다는 이날 2030년까지 전기 자동차(EV)나 소프트웨어에 10조엔(약 90조원)을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애초 2022년에 발표한 5조엔에서 두 배로 숫자를 높인 것이다.


세부적으로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약 2조엔, 배터리에 약 2조엔, 차세대 공장을 포함한 투자 등에 약 6조엔이 투입될 예정이다.


16일 소프트웨어 투자 전략을 발표하는 미베 도시히로 혼다 사장 [혼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