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장기화 속에 가계와 기업 자금난이 가중되면서 은행권 자산 건전성도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들어 주요 은행들의 대출 연체율은 부문별로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특히 가계보다는 기업이, 기업 중에서는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연체율을 기록했습니다.

은행들은 대규모로 쌓인 부실 채권을 상각하거나 매각하는 방식으로 자산 건전성 유지에 안간힘을 쓰고 있으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오히려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오늘(28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단순 평균 대출 연체율은 0.32%로 집계됐습니다.

전년 동기(0.27%)는 물론 전 분기(0.29%)보다도 눈에 띄게 높아졌습니다.

부문별로 보면 가계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말과 4분기 말에 각 0.24%, 0.26%에서 올해 1분기 말 0.28%로 상승했습니다.

지난 2월 말에는 0.32%까지 오르기도 했습니다.

기업 부문은 상황이 더 나빴습니다.

기업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말 0.30%에서 4분기 말 0.31%로 소폭 상승한 뒤 올해 1분기 말 0.35%로 뛰었습니다.

같은 기간 중소기업은 각 0.34%, 0.37%, 0.41%로, 대기업은 각 0.03%, 0.05%, 0.07%로 연체율이 올랐습니다.

지난 2월 말 기준 중소기업은 0.55%, 대기업은 0.13%, 기업 전체로는 0.47%의 높은 연체율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일선에선 이른바 '팬데믹 특수'가 끝났다는 데 주목합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오른 연체율이 2019년 당시와 비슷해졌다"며 "저금리로 유동성이 풍부했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는 연체율이 낮아졌다가 다시 금리가 오르면서 코로나19 이전 상황으로 돌아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은행들은 자산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부실 채권을 대거 상각 또는 매각하고 있습니다.

5대 은행은 올해 1분기 중에만 1조6천79억 원 상당의 부실 채권을상각하거나 매각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1분기의 8천536억 원보다 88.4% 늘어난 규모입니다.

은행들은 3개월 이상 대출 원리금 상환이 연체된 채권을 고정 이하 등급의 부실 채권으로 분류해 별도 관리하다가, 회수 가능성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되면 떼인 자산으로 간주합니다.

이후 장부에서 아예 지워버리거나(상각), 자산 유동화 전문회사 등에 헐값에 파는(매각)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문제는 차주들의 연체가 급속히 늘면서 은행들의 공격적인 상·매각보다 더 빠른 속도로 부실 채권이 쌓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단순 평균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0.28%로, 지난해 1분기 말의 0.27%보다 0.01%p 상승했습니다.

은행 관계자는 "올해 1분기 말 고정이하여신 비율이 지난 2020년 1분기 말 이후 가장 높게 나타났다"며 "전체 자산의 질이 안 좋아지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말했습니다.

[ 윤형섭 기자 / yhs931@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