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고물가 기조 장기화로 대출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취약 고리인 가계와 중소기업 부문에서 지역별 연체율 격차가 감지된다.

고령화로 인구가 유출되고 있는 전북에서는 가계대출이, 경기 침체로 어려움이 있는 대전에서는 중기 대출 연체율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제주 지역은 관광객 감소에 따른 지역 경기 악화, 부동산 공실률 급증 등으로 가계와 기업 연체율이 동반 상승하고 있다.


7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국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38%로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기 직전인 2021년 말 0.21%보다 0.17%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0.26%에서 지난해 0.41%로, 가계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0.16%에서 0.35%로 뛰었다.

특히 기업대출 내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연체율 양극화가 일어나고 있다.

같은 기간 중기 대출 연체율은 0.27%에서 0.48%로 0.21%포인트 올랐지만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24%에서 0.12%로 오히려 감소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말 중기 대출 연체율이 가장 높은 곳은 0.86%를 기록한 제주였다.

2021년 말 0.16%에서 2년 새 5배 이상 급등했다.

같은 기간 중기 대출 연체율은 대전에서 0.18%에서 0.60%로 0.42%포인트 늘었고, 대구에서는 0.25%에서 0.59%로 2배 이상 올랐다.


대전은 지역 경제 특성상 내수 중심 중소기업이 많은데, 물가가 오르며 원자재 가격이 인상된 상황에서 내수 경기 침체로 매출이 감소한 데다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인건비 등이 오르는 데 반해 소비가 줄어들면서 이중고에 처한 것으로 분석된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2021년 말 대비 2023년 말 모든 지역에서 올랐다.

특히 해당 기간 전북은 0.31%에서 0.89%로 뛰었고 제주는 0.26%에서 0.73%로, 광주는 0.20%에서 0.53%로 급등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전북·제주·광주 등 인구 고령화와 청년층 인구 유출 가속화로 지역 경제가 침체된 지역에서 가계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박나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