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7차 핵실험 우려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미일 3국 외교차관이 오늘(8일) 서울에서 공조 강화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조현동 외교부 1차관과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부장관, 모리 다케오(森健良)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은 이날 오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제10차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를 개최했습니다.

이번 협의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단거리 탄도미사일 8발 발사 등 잇단 도발에 더해 핵실험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가운데 열렸습니다.

한미일 3국은 최근 별도의 회담 없이 외교장관 공동성명을 발표해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는 등 강력한 대북 공조를 과시하고 있습니다.

이번 차관급 협의에서도 북핵 대응 방안을 중요하게 논의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3국 차관은 북한의 핵실험 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등에서 추진할 추가 제재 등 압박 방안을 협의하고 북한에 도발 자제 메시지를 보낼 것으로 보입니다.

그동안 한일관계 경색으로 활성화되지 못했던 3국 안보협력 논의가 얼마나 진전될지도 주목됩니다.

미국은 대북 공조뿐 아니라 중국 견제를 위한 인도·태평양 전략,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 글로벌 현안 대응에서도 한미일 협력을 중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한미일 3국의 협력 메커니즘이 북한 문제에 그치지 않고 보다 포괄적 범위·역할로 확장돼야 한다는 것이 미국의 인식입니다.

마침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지난달 한일 순방을 통해 3국 공조 강화를 위한 모멘텀이 마련돼 이번 회의에서 가시적인 협력 방안이 도출될지 주목됩니다.

한미 외교차관은 전날 양자회담에서 "한반도 문제 대응과 역내 및 세계 평화와 번영을 위한 한미일 공조의 중요성과 유용성을 재확인"하고, 협의회에서 3국 간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밝힌 바 있습니다.

주한미국대사관에 따르면 셔먼 부장관은 전날 박진 외교부 장관을 예방한 자리에서도 '지역 및 글로벌 안보와 번영에 관한 한미일 협력 증진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한미일 협력 확대를 위해서는 한일관계 개선이 필요합니다.

지난해 11월 미국에서 마지막으로 열린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에서는 일본이 한국 경찰청장의 독도 방문을 문제 삼아 공동 기자회견을 무산시키며 3국 공조가 균열을 드러냈습니다.

그러나 윤석열 정부는 한일관계 개선에 적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어 협력 확대를 위한 환경이 갖춰졌다는 평입니다.

모리 차관은 이날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 전 박진 외교부 장관을 예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조 차관은 이날 3국 차관 협의회 후 모리 사무차관과 별도의 양자 회동도 할 예정입니다.

한일 외교 당국 간 소통이 속도를 내는 가운데 과거사 문제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해 입장 접근이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모리 차관은 전날 한국에 입국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일본 외무성 관료직 중 가장 높은 자리인 사무차관이 방한한 것은 2017년 10월 이후 4년7개월여 만입니다.

지난달에는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특사로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이 방한, 박 장관(당시 후보자 신분)과 회동하는 등 최근 일본 고위 당국자들의 방한이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

[ 박소민 인턴기자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