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통한 재계…'이재용 부회장 부재' 삼성, 다시 비상경영체제 돌입

【 앵커멘트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정농단 파기환송심에서 법정 구속됨에 따라 삼성이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하게 됐습니다.
삼성이 3년 만에 다시 총수 부재 상황을 맞으면서 지난 2017년 이 부회장이 처음 구속됐을 때처럼 전문경영인이 중심이 된 부문별 대표들이 모인 회의체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에도 비슷한 방식으로 비상경영 체제가 돌아갈 것으로 보이지만 재계는 악영향이 불가피하다며 판결에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보도에 왕성호 기자입니다.


【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국정농단 파기환송심에서 징역 2년 6개월의 실형을 선고받아 삼성은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할 전망입니다.

삼성은 법원 판결에 대해 현재까지 공식 입장을 내지 않았지만 내부에서는 큰 충격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대·내외 불확실성과 미중 무역전쟁 심화, 반도체 경쟁 등 한 치 앞을 모르는 경영 환경 속에서 총수의 부재를 다시 한번 맞이한 상황.

예상치 못한 이재용 부회장의 수감으로 삼성전자를 비롯한 계열사들은 자율경영체제를 강화하는 한편 현재의 경영상황 관리에 집중할 예정입니다.

김기남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 김현석 소비자가전(CE)부문 사장, 고동진 IT·모바일(IM)부문 사장이 이끄는 사업 부문별 대표체제를 더욱 강화하고 자칫 어수선해질 수 있는 조직 안정에 최우선적으로 힘을 쏟을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은 지난 2017년 이재용 부회장이 처음 구속됐을 당시 기존의 총수 중심 경영 체제에서 계열사별 전문 경영인 체제로 전환한 바 있습니다.

이재용 부회장은 구속됐던 1년 동안 당시 주요 현안을 직접 보고받고 의사 결정에도 관여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한계가 있었던 상황.

여기에 최근 코로나19 3차 대유행 여파로 구치소 면회 제약이 많아져 옥중경영도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재계 일각에선 "오너가 정상적 활동이 어려운 상황인 만큼 미래를 위한 대규모의 적극적인 투자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며 법원의 판결에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기업의 운명이 달려 있는 막대한 자금 투입에는 책임자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와 함께 법원의 권고로 설치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예정대로 활동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재용 부회장이 선고공판을 일주일 앞둔 지난 11일에도 직접 준법위 위원과 만나 "준법위의 독립성과 지속적인 활동을 보장하겠다"고 약속했던 만큼 이번 달 21일로 예정된 정기회의와 26일 최고경영자 모임을 예정대로 진행할 전망입니다.

삼성전자삼성물산 등 7개 계열사는 이번 파기환송심 공판에서 전문 심리위원들이 준법위 활동의 한계를 지적했던 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매일경제TV 왕성호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