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그간 의사고시에서 지각한 응시생이 재응시 기회를 받고 시험일 배정을 학생에게 맡기는 등 의사국시 관리가 총체적으로 부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오늘(5일)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강병원(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시행된 제83회 의사 국시 당시 실기시험 시간에 늦은 응시자가 추가 시험을 치른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시험 규정에 따르면 응시자는 시험 시작 35분 전까지 시험장 입실을 마쳐야 하며, 이 시간까지 시험장이나 대기실에 입장하지 못하면 결시로 처리됩니다.

그러나 해당 응시자는 '택시가 정상적인 경로로 운행하지 않아 시험 시간에 늦었다'는 소명 자료를 제출해 재응시 기회를 얻은 바 있습니다.

또 의대생이 직접 본인의 실기시험 응시일을 고르는 현행 시험 체계 때문에 이른바 '선발대'가 먼저 시험을 본 뒤 해당 문제를 복기해 유출하는 관행이 이어졌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

의사 국가고시 실기시험은 약 2달간 진행되는데, 응시자는 학교와 협의해 자신의 시험 응시 날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시차 때문에 선발대 학생들이 시험 기간 초반 먼저 시험을 치르고 나면 이들이 복기한 문제가 아직 시험을 보지 않은 학생들 사이에서 공유된다는 것입니다.

이에 강 의원은 "어떤 시험도 응시자들이 시험 볼 날짜와 순서를 다 정하게 해 주지 않는다. 의사국시가 이렇게 치러지는 것은 의대생에 대한 과도한 특혜"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실기시험의 경우 일괄 접수한 후 임의로 시험일을 배정하는 등의 대책을 통해 연례적으로 반복된 집단 유출 문제를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공정을 바라는 국민의 눈높이에서는 도저히 묵과하기 어려운 일이며, 이번 기회에 바로잡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 권영하 인턴기자 / youngha@mk.co.kr ]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