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정부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발행하는 온누리상품권, 들어보셨는지요?
설 연휴를 앞두고 할인판매에 들어가지만, 시장의 반응은 시큰둥합니다.
박상훈 기자입니다.
【 기자 】
정부가 지난 2009년 소상공인을 살린다는 취지로 발행하기 시작한 온누리상품권.
3만원권과 1만원권, 5천원권 등 세 종류가 있는데 전국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습니다.
전통시장이 주된 사용처이다 보니 특히 명절에 수요가 높은 상황.
주무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는 설 연휴를 앞두고 이달 21일부터 31일까지 온누리상품권 구매 할인율을 현재 5%에서 10%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
또 다음달 20일까지는 월별 구매 한도도 기존 30만 원에서 50만 원으로 늘어납니다.
여기에 40%에 달하는 전통시장 소득공제율까지 고려하면 보다 싸게 명절용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게 중기부의 설명.
▶ 스탠딩 : 박상훈 / 기자
- "정부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온누리상품권을 발행하고 있지만, 정작 시장에선 거래가 뜸합니다."
우체국과 새마을금고 등 14개 금융기관에서 구매·환전할 수 있지만, 현금이나 카드보다는 아무래도 불편할 수밖에 없습니다.
▶ 인터뷰 : 서울 신중부시장 상인
- "온누리상품권이 (들어) 오긴 옵니다. 그런데 바꾸기도 번거롭고 쓰기도 애매해서 될 수 있으면 안 들어왔으면 좋겠습니다."
시장 크기에 따라 환전 상한선을 정해둔 것도 상품권 유통에 걸림돌이라는 지적.
▶ 인터뷰 : 박정원 / 서울특별시상인연합회 회장
- "일부 대형시장은 10억까지만 환전을 해줍니다. 15억도 들어오고 20억도 들어오는데, 그런 문제를 개선했으면 합니다."
특별 할인기간에 가맹점에서 사들인 뒤 일반 매매점에 내다 팔아 수익을 남기는 일명 '상품권깡'도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지난해 기준 온누리상품권의 발행규모는 1조5천억 원.
정부와 여당은 2022년까지 10조 원까지 확대하겠다고 했지만, 속 빈 강정은 아닌지 면밀히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매일경제TV 박상훈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