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잇(it)슈]베이지북 리뷰…미 연준 금리정책 방향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글로벌 마켓, 월가엔 지금 무슨일이?
간밤 핫한 이슈를 집중 분석, 관련 국내외 종목의 투자 전략까지 한방에 제시합니다!

<출연자 : 매일경제 경제경영연구소 최병일 책임연구원>

Q. 2시간 전 발표된 '베이지북' 리뷰?

A.연초 이후 임금상승 신호가 확인됨.
A.임금 상승 완만한 수준…물가는 모든 지역이 상승함.

Q. 3월 FOMC 전까지 시장 전망은?

A.3월 FOMC 기준 금리 인상에 대한 예측이 큼.
A.다른 부정적 외생 요인 발생 시 변동성 더 커질 예정임.

Q. 최근 연준 위원들의 발언 내용은?

A.랜들 퀄스 연준 부의장, "감세정책 긍정적 평가"라고 발언함.
A.인플레이션에 대비 점진적 금리 인상 지지함.
A.라엘 브레이너드 연준 이사, "미국 경제 상황 긍정적" 라고 발언함.
A.감세 정책·소비 진작…미국 경제 상황 긍정적임.
A.물가 상승 압박으로 금리인상을 지지함.
A.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금리인상 필요"라고 발언함.

Q. 파월 의장의 3월 FOMC 전망은?

A.1월 연준 회의록, 3월 금리 인상을 강력하게 시사함.
A.파월 의장, 올해 금리 인상 3~4 차례 단행 예고함.

Q. 미 연준 금리 인상이 글로벌 증시에 주는 영향은?

A.연준 금리 결정·실물 경제 해석에 예민하게 반응함.
A.1월 FOMC 이후 세계 금융 시장 변동성 극대화됨.

Q. 한국은행의 통화정책 방향은?

A.연임으로 금리 인상 조기 결정할 가능성 있음.
A.외환 보유고·경상 수지 흑자…조기 금리 인상 없을 예정임.
A.시장에서는 5월 금리 인상할 것으로 전망됨.
A.선거 의식해 7월로 금리 인상 연기 가능성 있음.

Q. 캐나다 중앙은행 기준금리 발표, 내용은?

A.캐나다 중앙은행, 금리 동결함.
A.경제 성장률 전망치 하향 조정함.

Q. 오늘 발표되는 ECB 기준금리 전망은?

A.ECB, 물가 상승률 조정함.
A.유로화 강세·무역 마찰 증가…올해 인상 힘들 것으로 전망됨.

Q. 내일 발표되는 BoJ 기준금리 전망은?

A.연임 결정된 구로다 총재, "내년 초까지 금리 인상 없음"라고 발언함.

Q. 올해 글로벌 중앙은행들의 통화정책 방향은?

A.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증가한 유동성으로 물가가 상승함.



※ 출발 증권 시장은 매일 오전 6시에 방송됩니다.
국내외 경제 뉴스 및 투자전략 분석으로 여러분의 아침을 열어드립니다.
이 방송은 매일경제TV 홈페이지(http:www.mktv.co.kr) 및 케이블방송에서 생방송으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또한 방송 종료 후에는 인터넷 다시보기로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