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이 탄소나노튜브 공장 가동을 통해 차세대 소재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섭니다.
LG화학은 250억원을 투자해 여수공장에 연간 400톤 규모 탄소나노튜브 전용 공장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제품 양산에 돌입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탄소나노튜브 단일 라인 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규모라고 회사 측은 덧붙였습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도 SUSN Sinotech(에스유에스엔 씨노텍, 중국, 600톤), C-Nano(씨-나노, 미국, 500톤), Showa Denko(쇼와덴코, 일본, 500톤)에 이어 세계 4번째 양산 규모를 갖춘 것으로, 기존 선도업체인 Nanocyl(나노씰, 벨기에, 400톤), Arkema(아르케마, 프랑스, 400톤) 등과도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는 설명입니다.
LG화학은 올해 전지용 소재 등 공급 물량을 시작으로 판매 규모를 점차 늘려 내년 말까지 공장을 풀가동한다는 계획이며, 관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됨에 따라 2019년 추가 증설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탄소나노튜브는 전기 전도율(구리와 동일), 열 전도율(다이아몬드와 동일), 강도(철강의 100배) 등에서 기존의 소재를 훨씬 뛰어넘는 특성을 갖고 있어 2차전지부터 항공기 동체 소재까지 그 활용 영역이 매우 다양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IT산업·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리튬이온전지의 양극 도전재등으로 탄소나노튜브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LG화학은 기존의 분말형태의 탄소나노튜브 제품 개발 이후 고객이 사용하기 편한 압축형태의 제품도 최근 출시하였으며, 액체상태의 분산액 형태 등 다양한 제품을 통해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습니다.
이번 투자를 통해 LG화학은 기초소재 분야에서 추진 중인 고부가 프리미엄 제품으로의 사업구조 고도화 전략에 더욱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됐습니다.
손옥동 기초소재사업본부장은 "기존 범용 제품만으로는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경쟁에서 앞서 나갈 수 없다"며 "향후 탄소나노튜브를 비롯해 유망 신소재 발굴을 위한 R&D에 적극 투자해 차세대 소재 시장을 선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장남식 기자/jns1004@mk.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