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신세계와 이랜드 등 유통업체들이 신용 등급 강등을 당하며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이로써 신세계는 지난해 문을 연 신규 점포의 올해 성적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또 이랜드월드 측은 등급 강등이 불합리하다며 반발했습니다.
정영석 기자입니다.


【 기자 】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달 30일 신세계의 장기신용등급을 기존 'AA+'에서 'AA'로 강등했습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경영목표보다 신규점의 실적이 밑돌고 있고, 높은 수준의 투자계획 규모, 재무구조 보완책의 부재 등을 강등 이유로 꼽았습니다.

신세계의 강등 우려는 이미 제기됐었습니다.

올해 대규모 신규 출점에 차입금 규모가 증가했는데 반해, 내수 부진이 계속되면서 업황이 신통치 않았습니다.

두 번째 시내면세점 입찰에도 성공했지만, 사드 배치로 중국 관광객이 줄어들며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망에 면세점 사업 전망도 예전 같지 않습니다.

같은 날 한국신용평가도 이랜드월드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BBB-'로 한단계 강등했습니다.

등급전망도 부정적으로 유지했습니다.

한신평은 그룹 패션 부문의 부진이 계속되고 있고, 영업활동으로 잉여현금창출이 어려운 점, 계열 전반에 재무 부담이 과중한데도 자구 계획 실행 성과에 불확실성이 내재돼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이랜드 부채비율과 순차입금의존도는 각각 317.9%, 51.5%로 높습니다.

이에 대해 이랜드 측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이랜드는 티니위니와 부동산 매각이 순조롭게 마무리되고 있고, 공모 리츠 상장과 이랜드리테일 상장도 추진되고 있다며 이번 등급 강등을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매일경제TV 정영석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