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회 FIRA(Federation of Robot Soccer Association) 국제 로봇월드컵이 지난 14~18일 중국 천하제일성에서 개최된 가운데, 숭실대 ZSTT팀이 휴로컵에서 우승을 차지해 화제가 되고 있다.
FIRA 로봇월드컵은 1996년 시작됐으며, 한국을 비롯해 미국, 브라질, 영국, 프랑스, 대만,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싱가포르 등 세계 각국을 순회하며 매년 개최된다. 중국에서 개최된 이번 대회에는 11개 국에서 2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치러졌다.
한국의 숭실대 ZSTT팀이 우승을 차지한 휴로컵은 로봇월드컵 중에서도 가장 관심이 높은 종목이다. 조정하는 사람이 없으며 로봇이 스스로 상황을 판단하고 인지하여 임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휴로컵에서 당당히 한국팀이 우승한 것. 숭실대 ZSTT팀은 휴로컵 성인부 종합우승을 차지하며 한국의 로봇기술력을 과시했다.
ZSTT팀은 양지현 박사(미디어학과)와 정재식 연구원(정보통신전자공학부 졸업)이 이끌고 있으며, 이번 대회는 1m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자체 제작하여 휴로컵 어덜트 사이즈(80cm 이상)에 출전했다.
휴로컵은 4개 파트에서 치러졌으며, 숭실대 ZSTT팀은 성인부에서 패치를 인식하여 왕복달리기를 하는 스프린트 1위, 역기를 들어 올리는 웨이트 리프팅 1위, 멀리뛰기인 롱 점프 1위, 로봇 마라톤 2위를 차지하며 종합우승의 영예를 안았다.
양지현 박사는 “로봇이 시시각각 상황을 인지하고 대처하는 것이 관건인 만큼 로봇의 눈에 해당하는 카메라와 이를 영상 처리하는 CPU를 탑재했다”면서 “로봇의 보행 및 행동을 제어하는 MCU에 기구학 등의 알고리즘을 실시간으로 연산하는 첨단 기술을 적용했다”고 말했다.
ZSTT팀 양지현 박사는 “최근 우승과 함께 독일, 캐나다, 대만 등 세계 각국의 로봇연구기관에서 공동연구 요청이 들어오고 있지만 보다 다양한 국제로봇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당분간 연구에 매진할 방침이다. 현재 1.4m의 대형 로봇 제작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