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기업은행장 임기가 오는 27일로 만료되는데요.
후임 인선을 앞두고 관치 금융 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백가혜 기자가 전합니다.


【 기자 】
오는 27일 임기가 만료되는 기업은행장 인사를 둘러싸고 잡음이 나오고 있습니다.

기업은행장은 금융위원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는데,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임명하게 됩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후임 기업은행장 자리는 내부 출신 인사들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 후보들에 대해 인사 청탁과 내정설이 돌면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기업은행 노조는 최근 정찬우 한국거래소 이사장과 정은보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차기 후보로 거론되는 인물과 회동을 가졌다며 인사에 정부 측의 부정 개입 시도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금융위원회와 기업은행은 그러한 모임이 없었다고 반박했으나 노조는 해당 사실을 이미 확인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은행에 1천400억 원대의 손실을 초래한 길거리 점포 사업에 참여한 업체 관계자도 이 모임에 함께했다는 게 노조 측의 주장입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학영 의원이 지난 10월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기업은행이 KT 링커스와 계약해 길거리 공중전화 ATM 사업에 5년 동안 1천480억원을 들였지만 현재까지 20억원에 못 미치는 수익을 거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과정에서 특정 후보가 부스 제작과 설치를 맡은 업체와 접촉했다는 커넥션 의혹까지 일고 있는 것.

기업은행장 후보로는 김규태 전 전무이사와 김도진 경영전략그룹 부행장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노조 관계자는 "부정청탁 의혹이 해명되지 않은채 후보로 추천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며 "직원들이 요구하는 민심에 부응하는 인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른바 최순실 게이트로 정국이 혼란스러운 상황에 안정적인 은행 경영을 위해 권선주 현 행장의 연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권 행장이 박근혜 대통령과 친분이 있다는 점을 들어 노조의 반발은 극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매일경제TV 백가혜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