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대표적 서민 식품인 라면, 마트에서 사재기 현상, 자세한 내용은?
A. 라면값 인상 초읽기 예상에 관련주가 올랐다. 최근 5년간 가격 동결도 인상시기 도래에 무게를 실었으며, 주원료 국제가격 중 소맥은 하락세이나 팜유 21% 증가도 원인이다. 대형마트 라면 박스단위 판매가 급증하였다.

Q. 농심 라면가격, 국정 혼란기를 틈타 슬그머니 오르나?
A. 원자재비, 인건비, 물류비 인상에 책임을 미뤘다. 실적 하락으로 가격인상 불가피한 입장이며,
농심 18개 품목 라면시장 60% 점유하고 있다. 팔도, 삼양 등 잇따를 전망이다.

Q. 맥주에 라면. . AI 확산에 계란 가격까지 오르고있죠?
A. 맥주, 탄산음료 등 AI로 가금류 천오백만 마리 이상 살처분 하였다. 계란 가격 급등, 일부 마트 한판 7300원까지 올랐다. 공급대란 장기화 우려, 제빵업계도 비상이 걸렸다.

Q. 소비 심리 위축에 사재기까지 시장은 이미 혼란 상황인데요. 대책은?
A. 소비자, 정치경제 대혼란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권한대행, 경제부총리 등 물가당국 대책 마련 등 심리안정화 조치가 필요하다. 내년 금리 인상 시 가계부채 위험 고조 등 체계적 대응이 필요 하다.

최영일 시사평론가 by 매일경제TV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