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1년 만에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서 정부도 불확실성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시장 안정을 위해 채권시장안정펀드가 꾸준히 거론돼왔는데요.
이나연 기자입니다.
【 기자 】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미 대통령에 당선되고, 미 연준이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대외 불확실성이 금융시장을 짓누르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정은보 / 금융위 부위원장
- " 미국 국채 금리 상승과 달러화 상승 속에서 금리와 환율은 상대적으로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의 국채금리와 동조화하면서 재차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정부는 시중 유동성을 대비하기 위해 채권시장안정펀드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 인터뷰 : 정은보 / 금융위 부위원장
- "채권시장안정펀드 재가동을 위한 절차가 거의 마무리됐습니다. 시장이 불안해지는 경우 즉시 가동토록 하겠습니다. "
채권시장안정펀드는 지난 1999년과 2008년에 채권시장이 경색돼 일시적으로 자금난을 겪고 있는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것입니다.
지난 1999년에는 20조 원을, 지난 2008년에는 10조 원을 조성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기업들의 자금 조달위험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의 시장안정화에 대한 의지가 강한 만큼 채권시장도 단기적으로 안정을 찾아가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과거 펀드가 운용됐을 당시와는 시장 상황이 다르고, 운용성격이 다른 만큼 적절하게 마련돼야 한다는 조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1999년에는 국공채를 중심으로, 2008년에는 신용등급 BBB+ 이상의 크레딧물 중심으로 운용됐습니다.
임정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A등급 이하 크레딧물의 경우 시장양극화가 지속되면서 자금조달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만큼 채권시장안정펀드의 투자가이드 라인도 시장양극화를 해소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김민정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채권시장안정펀드에서도 위험회피 성향때문에 발행시장이 개선되지 못할 경우 회사채시장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우려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채권가격 하락보다 채권거래 자체가 되지 않는 유동성 문제가 해결돼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채권시장안정펀드 외에도 유동성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매일경제TV 이나연입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