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현수 '후폭풍', 최광복 코치.김소희 해설위원 '선수구타' "충격"..전명규 등 파벌 '여전?'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러시아로 귀화한 안현수(러시아명 빅토르 안)가 금메달을 딴 이후 후폭풍이 일고 있다.

금메달을 획득한 뒤 대한빙상경기연맹(빙상연맹)에 비판이 쏟아지는 가운데 김소희 MBC 해설위원과 대표팀 최광복 코치의 과거 선수 구타 전력에 관심이 모인다.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여자 3000m 금메달리스트인 김소희 해설위원은 지난 2003년 여자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코치로 활동했다.

2004년 11월 최은영, 진선유, 강윤미 등 쇼트트랙 여자 대표선수 8명 가운데 6명이 사생활 간섭과 코치의 상습적인 구타 등의 이유로 태릉선수촌을 무단 이탈했다가 복귀한 사건이 벌어지며 김소희 해설위원을 비롯한 코치진의 구타 사실이 알려졌다.

당시 선수들이 빙상연맹에 제출한 진술서에는 "스케이트 날 집으로 목덜미를 잡고 계속 때렸다", "아이스하키 채로 맞아 온몸에 멍이 들기 일쑤였다", "체벌을 당하던 선수가 쓰러져도 계속 때렸다" 등의 내용이 담겨있어 충격을 줬다.

사건이 알려진 뒤 김소희 해설위원을 비롯한 코치진은 자진 사퇴했으며 7명의 빙상연맹 부회장단도 자리에서 물러났다.

김소희 해설위원은 현재 아시아올림픽위원회 위원, 대한체육회 국제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4 소치 동계올림픽 MBC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국 빙상연맹 쇼트트랙 대표팀 코치를 맡고 있는 최광복 코치도 지난 2011년 러시아 코치 당시 러시아 대표팀 전지훈련 기간 중 훈련 후 휴식을 하고 있던 한 러시아 선수의 자세가 올바르지 못하다며 벌로 트랙을 30바퀴 더 돌라고 지시하는 등 갈등을 보인 바 있다.

이 같은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아무리 지난 일이어도 폭행 전력이 있는 사람을 해설위원으로?…좀 그렇다", "다른 해설위원도 많은데 굳이 폭행 이력 있는 사람을 써야하나", "빙상계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는 사건의 당사자네… 해설위원으로 나오기는 좀 그렇지 않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

안현수 금메달 후폭풍 김소희 최광복 논란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안현수 금메달 후폭풍 김소희 최광복 논란, 빙상연맹 와 진짜 장난아니네" "안현수 금메달 후폭풍 김소희 빙상연맹 최광복 논란, 이런 사람들은 아예 관련 업계에서도 빙상연맹이 퇴출시켜야 하는거아닌가" "안현수 금메달 후폭풍 김소희 빙상연맹 최광복 논란, 선수들이 불쌍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빙상연맹의 파벌은 전명규 한국체육대 교수(1991∼2002년 국가대표팀 코치·감독)와 그의 수제자인 김기훈과 안현수 대 '비(非) 한체대 출신' 들의 파벌이 있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밖에도 당시 '전명규 라인 vs 비(非) 전명규 라인', '안현수파 vs 비(非) 안현수파' 등 각종 파벌 프레임들이 있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일부 쇼트트랙 선수들 사이에서는 "누구와 친하게 지내야 금메달을 딸 수 있다더라"라는 말까지 나왔던 것으로 전해졌다.

빙상연맹 전명규 김소희 최광복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빙상연맹 전명규 김소희 최광복, 이런 사람들이 요직을 맡고 있었다니" "안현수 정말 러시아 잘 갔다!" "빙상연맹 이번에 제대로 각성해야한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