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최고 갑부는 멕시코 통신재벌…이건희 69위 멕시코의 통신재벌 카를로스 슬림 회장이 4년 연속 세계 최고 부자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국내에선 이 회장이 지난해보다 47억달러 증가한 130억달러로 69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 루비니 "채무위기·재정감축 우려 평가절하돼"누리엘 루비니 뉴욕...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4일(현지시간) 밝힌 '2013 세계의 부호' 순위에서 멕시코의 통신 재벌인 카를로스 슬림 회장이 730억달러의 순자산으로 4년 연속 정상의 자리를 지켰습니다. 슬림 회장의 자산은 자신이 보유중인 금융회사의 주가 상승 등에 힘입어 40억달러 늘어났습니다. 마이크로...
'닥터둠'으로 불리는 대표적인 비관론자,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가 투자자들은 유로존 재정위기와 미국 연방 정부의 대규모 예산 자동 삭감, 이른바 '시퀘스터(sequester)'의 여파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루비니 교수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글로벌 증시...
중국에서 시진핑과 리커창을 각각 국가주석과 총리로 공식 선출하는 제12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오늘(5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시작됩니다. 각 성과 자치구, 직할시와 홍콩, 마카오 특별행정구 등에서 선출된 2,900...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유로존의 재정, 경제 위기를 해결하려면 긴축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브뤼셀에서 열린 유로존 재무장관 회의에서는 이탈리아 총선 이후 긴축 정책에 대한 거부감이 확산하는데 대한 우려...
올해 애플리케이션 시장 규모가 지난해 보다 62% 늘어난 250억 달러, 우리돈으로 27조 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는 애플이 모바일 앱을 선보인 이후 지난 5년 동안 애플리케이션 산업이 무서...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워렌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최고경영자(CEO)는 주식이 여전히 높은 투자가치가 있고, 자신도 장기적 관점에서 주식을 계속 사들이고 있다고 밝혔다. 버핏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다우지수가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고 있으나 주식의 투자가치는 높은 수준이라며 이같이 밝혔습...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서울보증보험 신용등급을 'AA-'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피치는 예금보험공사와 정부의 강한 지원이 계속되고 있고, 서울보증기금이 보증한 국가들의 경제가 안정되고 있어 상승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등급 전망도 '안정적'으로, 피치는 서울보증의 재정 건전성이 건강하게...
2010년 이후 상장폐지 기업이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상장폐지된 12월 결산 법인은 모두 65개로 2010년 94개사, 2011년 71개사 이어 3년째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상...
코오롱이 제과사업에서 철수합니다. 이웅렬 코오롱 회장은 계열사 스위트밀이 가지고 있던 지분 19.97%를 비영리법인인 꽃과 어린왕자 재단에 기부형식으로 매각했습니다. 코오롱 측은 "재벌빵집 논란 등이 빚어져 베이커리 사업에...
스페인의 실업자가 500만명을 돌파하며 1975년 이후 가장 많은 실업자수를 기록했습니다. 스페인의 언론들은 노동부 통계를 인용해, 지난달 스페인 등록 구직자는 1월보다 5만 9,444명이 늘어난 504만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습니다. 또 유럽연합 통게청인 유로스타트에 따르면 스페인의 지난해...
브라질의 경제규모가 2015년에는 세계 6위로 올라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브라질 일간지 폴랴 데 상파울루는 브라질 국립통계원과 영국의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 등의 자료를 이용해 이같이 보도했습니다. 이코노미스...
유로존의 올 1월 실업률이 11.9%를 기록하며 사상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유럽연합의 통계청 유로스타트는 1월 실업률이 전월보다 0.1%포인트 오른 11.9%를 기록했다며 1995년 실업률 공개 이후 가장 높다고 밝혔습니다. ...
유럽주요 증시가 중국발 악재에 수요감소 우려로 전반적으로 하락마감했습니다. 영국 FTSE100 지수는 전날보다 0.5% 하락한 6,346.80, DAX 40 지수는 0.2% 하락한 7,692.80에 장을 마쳤습니다. 반면 ...
가장 많이 본 뉴스
투데이 포커스
상반기 소비자 물가 2.1% 상승…먹거리 물가는 불...
화제의 뉴스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