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냈다!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 통과"마이크 존슨 미국 하원의장(가운데)이 3일(현지시간) 워싱턴DC 연방의회 의사당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국정과제를 담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One Big Beautiful Bill Act)' 통과를 축하하며 동료 의원들과 악수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핵심 국정과제를 담은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One Big Beautiful Bill Act)'이 의회 관문을 최종 통과하면서 국정 운영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정치적 승리를 거둔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부터 각국에 관세율이 적힌 서한을 보내기로 하면서 힘을 과시할 방침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취재진에게 "오후부터 10~12개 무역 상대국에 서한이 발송된다"며 "며칠 동안 서한을 추가로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이어 "9일쯤이면 (서한 발송이) 완전히 처리될 것"이라면서 애초 상호관세 유예 시한 만료 시점이었던 7월 9일을 언급했다.

또 "상호관세율은 아마도 60~70%부터 10~20%까지 다양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거론한 최대 상호관세율 70%는 지난 4월 2일 발표한 수치보다 높다.

당시 최대 상호관세율은 50%였다.

서한 발송 대상국에 관해 자세히 설명하지 않은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8월 1일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협상장에서 미국의 요구를 수용하거나 상호관세율을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압박하는 트럼프식 '거래의 기술'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3일 CNBC에 관세협상을 미루는 국가들을 겨냥해 "이들 나라는 상호관세율이 4월 2일 책정한 수치로 되돌아갈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 시점을 8월 1일로 제시한 걸 두고 관세 유예 연장을 시사한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금융전문매체 포렉스라이브는 "8월 1일이라는 타임라인은 지난 4월처럼 상황이 변할 수 있는 시간이 여전히 남아 있음을 뜻한다"고 해석했다.

무역협상을 주도하는 베선트 장관은 관세 유예 가능성을 언급한 적이 있지만 대통령이 해당 결정권을 쥐고 있다고 밝혀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 아이오와로 떠나기 전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 만난 기자들에게 "우리는 아마도 내일부터 시작해 하루에 10개국씩 서한을 보내 미국과 사업을 하려면 얼마를 지급(관세)해야 하는지 말할 것"이라고 밝혔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일본을 어려운 협상 상대로 꼽은 트럼프 행정부는 유럽연합(EU)·한국과도 관세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 상대국을 향해 압박 수위를 낮추지 않는 원동력은 OBBBA가 의회에서 통과한 덕분이다.

3일 미 의회에서 OBBBA가 최종 가결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국정 추진 동력을 얻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이오와주 디모인에서 진행된 미국 독립 축하 행사에서 "경이적인 승리"라며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세금 감면, 최대 규모의 지출 삭감, 최대 규모의 국경 보안 투자가 포함됐다"고 말했다.

더힐은 이번 대규모 감세안이 의회를 통과했을 뿐만 아니라 불법이민자 감소와 외교정책, 대법원 판결 등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승리를 거두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전 정부에서는 감히 시도하지도 못한 이란 공습을 감행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휴전을 끌어내기도 했다.


[김덕식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