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건설은 지방 입장에서 소금물 마시는 격”
신도시 건설 수도권 집중 가속화 우려
기존 신도시 속도 빨리…부동산 수요억제책 많이 남았다”
 |
이재명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대통령의 30일, 언론이 묻고 국민에게 답하다’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이재명 대통령은 3일 향후 부동산 공급 정책 방향과 관련해 “기존에 계획된 신도시는 그대로 추진하되 속도를 빨리할 것”이라며 “추가로 신도시를 만드는 건 지방 균형 발전이라는 우리 대한민국의 지속적 발전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해 봐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취임 30일 기자회견에서 수도권 주택 문제가 화제에 오르자 “문제가 심각한데, (그중에서도) 새로 신도시를 만들 거냐가 최근 논쟁거리인 것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며 “집이 부족하니까 그린벨트를 훼손해서라도 신도시를 만들어 계속 (주택을) 공급해야 한다는 주장은 일리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이런 해법은) 조금 더 벗어나 지방의 입장에서 보면 목이 마르다고 해서 소금물을 계속 마시는 것이 될 수 있다”며 “수도권 집중화가 문제가 돼 주택 문제가 생기는데, 자꾸 새로 신도시를 만들면 그게 또 수도권 집중을 불러오지 않느냐”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두 가지 측면에서 결단을 언젠간 해야 하는데, 이미 결정된 것(계획)은 바꿀 수 없지만 추가로 만들지는 대한민국의 지속적인 성장 발전 전략 면에서 검토해봐야 할 것 같다”며 “대충 어떤 결론이 나올지는 각자 짐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확실한 대답이 없으면 답이 길어지게 된다”며 이 사안에 대해서는 확실한 입장을 정해놨다기보다는 향후 신중히 검토해갈 것임을 시사했다.
이 대통령은 ‘신도시 건설은 안 한다는 메시지로 읽힐 수 있다’는 질문에 “기존에 계획된 신도시는 많이 남아있는데 공급이 실제로 안 되고 있다.
상당한 규모”라며 “새로 신도시 기획을 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기존 계획은 그대로 하고 속도를 빨리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또 최근 발표한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에 대해선 “맛보기 정도에 불과하다”며 “더 근본적인 수요 억제책은 이것 말고도 많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안 그래도 좁은 국토에 수도권 집중이 심화한다”며 “부동산 투기적 수요가 부동산 시장을 교란하는데 전체 흐름을 바꿀까 한다”고 했다.
이어 “제 마음대로 되진 않겠지만 이제 부동산보다 금융시장으로 옮기는 게 훨씬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또 그렇게 만들려고 한다.
얼마든지 가능하고 지역 균형 발전 정책은 시간이 걸리겠지만 확고하게 추진해서 전체적으로 방향을 바꿀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수요억제책은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고 거듭 강조하며 “공급도 속도를 충분히 내면 걱정할 상황이 벌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