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부터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적용을 앞두고 신용점수가 900점 이상인 고신용자들이 제2금융권으로 몰리고 있다.

3단계에서는 DSR 산정에 저축은행, 카드, 캐피털 등 전 금융권 대출이 포함될 예정인 가운데 규제 시행 전에 돈을 빌리려는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29일 대출 비교·중개 핀테크 기업 핀다에 따르면 고신용자의 2금융권 대출 약정금액이 한 달 새 64%, 건수도 36%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도 조회 건수는 한 달 전보다 11.1%, 한도를 조회한 뒤 실제 대출 신청을 한 이들도 19.4%나 늘었다.

조사는 핀다를 이용한 고신용자의 5월 3주 차(12~18일)와 6월 3주 차(16~22일) 대출을 비교했다.

카드사 대출 약정금액은 157% 급증했다.

캐피털(52%), 저축은행(49%) 등을 통한 대출 규모도 크게 늘었다.


같은 기간 은행을 통한 대출 규모는 10%가량 감소해 대조를 이뤘다.

2금융권은 은행에 비해 대출 금리가 높다 보니 고신용자보다는 중저신용자가 많이 이용한다.


[박나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