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 급등세가 지속되면서 6월 가계대출 증가액이 7조 원에 근접하며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오늘(29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은 약 5조8천억 원 늘었습니다.
남은 기간 집행 예정 물량을 감안할 때, 6월 전체 증가액은 6조원 대 후반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영끌 광풍'이 불었던 2023년 8월(9조7천억원)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폭입니다.
대출 증가세는 서울 강남과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주요 지역 아파트 가격이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면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수요가 집중된 데 따른 것입니다.
이른바 '불장'으로 불리는 주택시장 과열이 다시 현실화되는 모습입니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6월 26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52조9천억 원으로, 전월 말보다 4조9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하루 평균 약 1천890억 원씩 늘어난 셈으로, 이 속도가 유지될 경우 이달 말까지 5조6천억 원 이상 불어날 수 있습니다.
다만 지난 28일부터 수도권 주담대 한도를 최대 6억 원으로 제한하는 강도 높은 규제가 시행되면서, 6월 전체 증가폭은 다소 줄어 5조원 대 초반에 그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담대(전세자금 포함)는 26일 기준 597조6천억 원으로, 한 달 사이 약 3조9천억 원 증가했습니다.
특히 신용대출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달 1일부터 26일까지 신용대출은 1조88억 원 늘어 2021년 7월 이후 약 4년 만에 최대폭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고소득 전문직 등의 자금 수요와 함께 증시 투자 등 여유자금 수요가 맞물린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조문경 기자 / sally3923@mk.co.kr]
[ⓒ 매일경제TV &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