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로 작성한 AI 그림.
HMM, 해양수산부 등의 부산 이전이 현실로 다가오는 가운데, Z세대 취업자 상당수는 지방 취업을 꺼린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상당수 취준생이 연봉 8000만원은 돼야 지방 취업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 플랫폼 캐치가 구직자 2754명을 대상으로 ‘지방 취업 의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63% 비중이 ‘지방에 있는 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지방 취업 의향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37%에 그쳤다.


지방 취업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주거·생활·교육 인프라 부족(55%)’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가족·지인과 멀어져서(20%)’ ‘타지 생활에 대한 불안감(13%)’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희망 일자리가 없을 것 같아서(6%) △커리어 성장에 불리할 것 같아서(5%)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 취업에 긍정적인 응답자들은 ‘취업 경쟁이 덜할 것 같아서(29%)’를 가장 큰 이유로 꼽았다.

그 외에도 ‘지방 거주 가족·지인과의 근접성(21%)’ ‘희망 직무·산업 일자리가 지방에 있어서(17%)’ ‘워라밸 기대(16%)’ ‘생활비, 교통 등 지방 생활 선호(15%)’ 등 순서로 나타났다.


지방 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연봉 조건에 대해서도 물어봤다.

그 결과 ‘8000만원 이상’을 선택한 응답자가 33%로 가장 높았다.

이어서 ‘5000만~6000만원’이 19%, ‘4000만~5000만원’이 17%로 뒤를 이었다.

이외에 △6000만~7000만원(13%) △4000만원 미만(10%) △7000만~8000만원(8%)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을 기준으로 ‘어떤 지역까지 취업이 가능한지(복수 응답)’ 묻는 질문에는 ‘서울 내(58%)’가 가장 높았고, ‘판교, 수원, 인천 등 수도권(52%)’이 뒤를 이었다.

이외 ‘중부권(대전, 세종, 강원 등)’은 17%, ‘남부권(부산, 대구 등)’은 10%, ‘도서지역(제주 등)’은 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부문장은 “지방 취업을 꺼리는 데는 인프라나 기회의 격차라는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사회 전반의 인식 개선도 필요하겠지만, 기업이 보유한 강점을 효과적으로 알린다면 구직자들에게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