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펀드 조성, 하반기도 정리 추진
“지역과 서민의 금융기관…노력 강화”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저축은행중앙회가 올해 3~4차 공동펀드를 통해 1조4000억원의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을 정리했다고 26일 밝혔다.

더불어 업계의 총 여신 및 PF 관련 연체율도 각각 1.2·5.8%p 줄어든다는 전망도 나온다.


앞서 중앙회는 3차 공동펀드를 통해 약 2000억원의 부실채권을 정리한 뒤, 올해 2분기 추가로 1조2000억원의 수준을 추가로 정리했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은 “그간 저축은행 업계는 경·공매 등을 통한 부실 PF자산 매각 등 자구노력을 하여 왔지만 시장의 수요 부족 및 대주간 협의의 어려움 등으로 매각에 애로를 겪어 왔다”며 “동 펀드가 이러한 부분에 대한 보완 기능을 통해 저축은행의 부실자산 정리에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부실채권 정리에 따라) 업계 총 여신 연체율은 약 1.2%p, PF 관련 대출 연체율은 약 5.8%p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저축은행중앙회 로고.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저축은행 업계는 앞으로도 경·공매 활성화, 상각 등을 통해 PF대출 관련 부실자산을 지속적으로 정리해 나갈 계획이다.


이에 중앙회는 부동산 시장 상황·저축은행 부실 정리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 올해 하반기도 5차 공동펀드 조성을 통해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정리를 추진한다.


또 오는 3분기에 설립 예정인 부실채권(NPL) 관리 전문회사를 통해 업계 부실자산이 잠재적 불안요인으로 작용하지 않게 상시적 부실채권 해소 채널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앙회 관계자는 “서민과 중소상공인 등 거래자가 안심하고 저축은행을 믿고 이용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며 “지역과 서민의 금융기관이 될 수 있도록 건전성 제고 노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늘의 이슈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