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한 아파트 건설현장 모습.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 없는 이미지. [박형기 기자] |
건설경기가 부진에도 10대 건설사들은 입지를 굳혀가는 모습이다.
올해 상반기 수주액이 이미 작년 연간 수주액에 달하면서다.
25일 작년 시공능력평가 기준 상위 10개 건설사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이날 현재까지 도시정비사업 수주 실적 총 수주액은 26조3529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연간 수주액 27조8702억원의 94.5%에 달하는 수준이다.
수주액이 가장 많은 곳은
현대건설(5조1988억원)이었다.
이어 포스코이앤씨(5조302억원),
삼성물산(5조213억원) 등이다.
DL이앤씨의 수주액은 2조6830억원으로 나타났다.
1~3위 건설사와 비교해 2조원 이상 차이 난다.
그 밖에 롯데건설 2조5354억원,
HDC현대산업개발 2조2262억원,
GS건설 2조1949억원,
대우건설은 8673억원, SK에코플랜트는 5958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이 중 현대엔지니어링은 신규 수주가 잠정 중단된 상태로 올해 상반기 수주 실적이 전무하다.
 |
서울 강남구 재건축 추진 아파트 단지에 재건축 관련 현수막이 걸려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건설 업계에서는 수도권의 도시정비사업 확보 여부가 수주액 규모 격차를 키웠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실제 이미 작년 한해보다 1조3000억원 이상의 수주액을 확보한
삼성물산은 서울 한남4구역 재개발(1조5695억원), 장위8구역 공공재개발(1조1945억원), 서울 신반포4차 재건축(1조310억원) 등 수도권에서 1조원 규모의 사업을 잇달아 따낸 바 있다.
한남5구역 재개발을 수주한
DL이앤씨도 이미 작년 한 해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주액인 1조7584억원을 확보했다.
HDC현대산업개발 또한 용산 정비창 전면1구역 재개발사업(9244억원)을 수주하면서 전체 수주액을 견인했다.
다만 이달 28일 이후 수주 순위가 다소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울산 남구 B-04구역 재개발사업(공사비 약 7000억원)과 서울 가락1차 현대(4167억원), 서울 미아 9-2구역 재건축사업(공사비 3370억원)의 시공사가 오는 28일 줄줄이 선정되기 때문이다.
울산 남구 재개발은
삼성물산이 단독 입찰해 우선협상 대상자로 선정된 상태이며 서울 가락1차 현대는 롯데건설이, 미아 9-2구역은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단독 입찰해 수주가 유력하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